연구단 소개Reconciliation and Coexistence in Contact Zones
- 참여연구원
· 전임연구원 전우형 교수
· Tel : 02-820-6811
· E-mail : wooh21@cau.ac.kr
· 소속 :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 학력 : 서울대학교 문학박사
· 전공 : 문학(한국현대문학, 한국문학과 영화)
- 학술활동 및 주요연구실적
- ♦ 학술활동
2020.11 - Editorical Board, the Journal of Borderlands Studies (JBS)
2017.09 - 한국문학번역원 번역아카데미 초빙교수
2020.03 - 2020.10 : 제25회 부산국제영화제 Forum Biff 자문위원
2018.05 - 2019.09 :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학술포럼 자문위원
♦ 연구분야
문화연구, 접경예술, 한국문학과 영화
♦ 논문
CHON Woohyung,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as a Field for Agonisics and Resonance: Contact Zones with Russian/Soviet Films, Quaestio Rossica 10(4), Ural Federal Univ., 2022.11.
전우형, 「남한사회주의노동자동맹과 표상으로서의 접경(Contact Zones)」, 『현대문학의 연구』77, 한국문학연구학회, 2022.6.
전우형, 「자막의 세계, 북한 조선어 보기와 초국적 공동체에 관한 상상」, 『겨레어문학』68, 겨레어문학회, 2022.6.
전우형, 「영화제, 광장, 아카데미아 사이의 경합과 연대」, 『대중서사연구』28(2), 대중서사학회, 2022.6.
전우형, 「"평양 로케이션", 평양에서 영화를 배우는 사람들」, 『사이間SAI』31,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21.11.
전우형, 「다중적 국경경관(Multi-scalar Borderscapes)과 접경의 재현정치」, 『역사비평』136, 역사문제연구소, 2021.8.
전우형, 「북중러 접경 초국가적 시민사회 건설의 서사성 연구」, 『구보학보』26, 구보학회, 2020.12.
전우형, 「미완의 80년대와 갱신되지 못한 90년대, 영화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의 문화정치」, 『한국사연구』191, 한국사연구회, 2020.12.
전우형, 「존재하는 모든 것들의 공존-미주 이민자 전낙청의 사랑에 관한 한 상상」, 『대중서사연구』26(2), 대중서사학회, 2020.5.
전우형, 「사이공간과 반영웅들의 재현정치-2019 뮤지컬-오페라의 독립운동」, 『역사비평』130, 역사문제연구소, 2020.2.
전우형, 「영화와 기차, 폐기된 계몽의 극장」, 『서울학연구』78, 서울시립대 서울학연구소, 2020.2.
전우형, 「1980년대 한국영화사 담론의 접촉지대」, 『구보학보』23, 구보학회, 2019.12.
전우형, 「소리의 접촉지대로서 『영화시대』와 재현의 정치」, 『문학과 영상』20(3), 문학과영상학회, 2019.12.
전우형, 「영화소설, 소설의 영화시대」, 『근대문학』, 국립중앙도서관, 2019.11.
전우형, 「초기 조선어 발성영화 <미몽> 각색에 나타난 혼종적 토착화(Hybrid Vernacularization)」, 『중앙사론』49, 중앙사학연구소, 2019.6.
CHON Woohyung, “Candlelight Documentary” as the Cultural Politics of Recording and Memorizing, and the Emergence of the Candlelight Plaza", Korea Journal 58(4), Korean Natl Commission Unesco, 2018.12.
CHON Woohyung (Co-author), "Is Internet overuse associated with impaired empathic ability in Korean college students?", MEDICINE 97(39),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8.9.
전우형, 「접경(Contact Zones)의 연쇄로서 해방 공간과 허위와 무위의 영화적 공간」, 『동악어문학』76, 동악어문학회, 2018.6.
전우형, 「접속하는 도시에 투영된 <접속>의 무의식적 욕망」, 『현대영화연구』13(4), 한양대 현대영화연구소, 2017.11.
전우형, 「한국 노동 다큐멘터리영화의 역사적 기원 연구」, 『민족문학사연구』64, 민족문학사학회, 2017.8.
전우형, 「1980-90년대 한국 독립영화의 전회-유령적 타자(Specter-others)와의 접속」, 『대중서사연구』23(1), 대중서사학회, 2017.2.
전우형, 「<반도의 봄>과 <시집가는 날>의 의사-로칼리티(Pseudo-locality) 표상」, 『어문연구』44(3),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6.9.
전우형, 「영화산업에서 독립영화의 토착화(vernacularization)와 타자화(Otherization)」, 『대중서사연구』22(3), 대중서사학회, 2016.8.
CHON Woohyung, "The vernacular aesthetics of conte adaptations of Western films in late colonial Korea", Journal of Korean Studies 20(2), Center for Korea Studies of University of Washington, 2015.12.
전우형, 「번역의 매체, 이론의 유포」, 『현대문학의 연구』56, 한국문학연구학회, 2015.6.
전우형, 「1990년 이후 구보 텍스트 재매개의 계보학」, 『구보학보』12, 구보학회, 2015.6.
전우형, 「「최후의억만장자」 각색의 재매개와 지정학적 미학」, 『반교어문연구』38, 반교어문학회, 2014.12.
전우형, 「소설 「무진기행」과 영화 <안개> 사이의 순환-선형적 리듬과 의사-유령적 자아」, 『한국어문학연구』63, 한국어문학연구학회, 2014.8.
전우형, 「이상 「지도의 암실」과 할리우드 뮤지컬 영화의 실험적 제휴」, 『겨레어문학』52, 겨레어문학회, 2014.6.
전우형, 「이효석 소설의 할리우드 표상과 유럽영화라는 상상의 공동체」, 『대중서사연구』30, 대중서사학회, 2013.12.
전우형, 「한국 현대문학 텍스트의 확장과 ‘문화론적 연구’」, 『겨레어문학』51, 겨레어문학회, 2013.12.
전우형, 「1960년 한국영화의 가난 재현의 기술과 정치학 영화 <마부>의 코미디와 해피엔딩, 그리고 가난의 판타지」, 『한국어문학연구』61, 한국어문학연구학회, 2013.8.
전우형, 「심훈 영화비평의 전문성과 보편성 지향의 의미」, 『대중서사연구』28, 대중서사학회, 2012.12.
전우형, 「훼손과 분리의 영화 신체에 담긴 실험적 의미-<바보들의 행진>의 검열 대응과 영상언어의 실험」, 『한국현대문학연구』37, 한국현대문학회, 2012.8.
전우형, 「이상 소설의 영화적 제휴 양상과 의미-소설 <실화>의 환술과 스크린 이미지」, 『한국현대문학연구』33, 한국현대문학회, 2011.4.
전우형, 「구보와 카메라 눈(kinoglaz), 다큐멘터리 형식의 문학적 실험」, 『구보학보』6, 구보학회, 2010.12.
전우형, 「일제강점기 조선 영화감독의 ‘전속(專屬)’제 연구」, 『현대문학의 연구』39, 한국문학연구학회, 2009.10.
전우형, 「<오발탄>의 매체 전환구조와 영화예술적 속성 구현 양상」, 『한국현대문학연구』28, 한국현대문학회, 2009.8.
전우형, 「식민지 근대의 이중 구속과 영화적 표상-<반도의 봄>의 자기반영적 서사 분석」, 『한국언어문화』38, 한국언어문화학회, 2009.4.
♦ 저서
CHON Woohyung(Co-author), Korean Film and Festivals: Global Transcultural Flows (Routledge, 2022).
전우형 외, 『영화운동의 최전선』 (한상언영화연구소, 2022).
전우형 외, 『팬데믹 시대에 경계를 바라보다』 (소명, 2022).
전우형 외, 『아시아와 북방, 문화접점의 확인: 우리는 어디서 어떻게 만나고 있는가?』 (다해, 2021).
CHON Woohyung(Co-author), The Borderlands of China and Korea: Historical Changes in the Contact Zones of East Asia (Lexington Books, 2020).
전우형·황재문 편저, 『접경인문학 자료총서 002: 구제적 강도』 (소명출판, 2020).
전우형 외, 『서울기획연구4: 서울은 소설의 주인공이다』 (서울역사박물관, 2018).
전우형 외, 『글로컬 시대의 한국영화와 도시공간 II』 (한양대 현대영화연구소, 2018).
전우형 외, 『접경인문학 자료총서 001: 평양책방』 (한상언영화연구소, 2018).
전우형 외, 『비평 현장과 인문학 편성의 풍경들』 (소명출판, 2018).
전우형 외, 『할리우드 프리즘』 (소명출판, 2017).
전우형 외, 『동아시아 문화 공간과 한국 문학의 모색』 (어문학사, 2014).
전우형 외, 『조선영화와 할리우드』 (소명출판, 2014).
전우형, 『식민지 조선의 영화소설』 (소명출판, 2014).
전우형 외, 『한국 현대소설이 걸어온 길-작품으로 본 한국소설사(1945-2010)』 (문학동네, 2010).
전우형 외, 『문학의 탈경계와 상호예술성』 (아카넷, 2009).
· 전임연구원 박지배 교수
· Tel : 031-330-4770
· E-mail : haskil@hufs.ac.kr
· 소속 :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 학력 : 러시아 국립학술원(Russian Academy of Sciences) 역사학박사
· 전공 : 러시아 근대사
- 학술활동 및 주요연구실적
- ♦ 논문
박지배, 「17세기 초 몽골을 통한 러시아의 중국 탐사가 갖는 세계사적 의미」, 『서양사론』 (147), 한국서양사학회, 2020.
박지배, 「수용과 혼종을 통한 공존의 모색: 네르친스크 회담」, 『역사학보』 (246), 역사학회, 2020.
박지배, 「러시아 대중국 국경의 형성과 접경성: 네르친스크-캬흐타 국경 체제」, 『역사문화연구』 (71), 역사문화연구소, 2019.
박지배, 「18세기-19세기 전반 러시아의 대중국 접경도시 캬흐타의 잡거와 혼종」, 『중앙사론』 (49), 중앙사학연구소, 2019.
박지배, 「17세기 중반 러시아의 동북아진출과 ‘나선정벌’의 의미」, 『역사학보』 (240), 역사학회, 2018.
박지배, 「모스크바국의 역사 편찬과 ‘러시아’ 만들기: 종교·문화적 충돌의 관점에서」, 『역사문화연구』 (67), 역사문화연구소, 2018.
박지배, 「1801-1825년의 경제 변화와 러시아 정부의 관세정책」, 『서양사론』 (130), 한국서양사학회, 2016.
박지배, 「통계 사료의 비판과 이용: 18-19세기 초 러시아 무역 통계를 중심으로」, 『역사교육』 (135), 역사문화연구소, 2015.
박지배, 「16-18세기 초 러시아 대서구 무역의 특징: 아르한겔스크 무역을 중심으로」, 『대구사학』 120, 대구사학회, 2015.
박지배, 「군주 칭호를 통해 본 러시아 국가의 다원성」, 『다문화콘텐츠연구』 (18),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5.
박지배, 「19세기 1/4분기 해외무역으로 본 러시아의 경제 상황」, 『슬라브硏究』 31(1), 러시아연구소, 2015.
박지배, 「18~19세기 전반 근대세계체제 내에서 영국의 대중국 차 무역이 갖는 의미」, 『역사학보』 (224), 역사학회, 2014.
박지배, 「18세기 후반-19세기 초 러시아 화폐의 위상과 그것이 러시아 대외 경제에 미친 영향」, 『역사학연구』 (56), 호남사학회, 2014.
박지배, 「18세기 후반 예카테리나 정부의 중농사상과 무역정책」, 『역사문화연구』 (51), 역사문화연구소, 2014.
박지배, 「근대 초 러시아 국가의 군사개혁과 동서양의 영향」, 『서양사론』 (121), 한국서양사학회, 2014.
박지배, 「18세기 전반 러시아 국가의 수도 페테르부르크의 근대성」, 『역사문화연구』 (46), 역사문화연구소, 2013.
박지배, 「표트르 시기 러시아 절대국가의 형성과 귀족 및 농민 신분의 제도화」, 『역사학보』 (208), 역사학회, 2010.
박지배, 「19세기 전반 러시아의 곡물수출과 농노제 문제」, 『역사학보』 (205), 역사학회, 2010.
박지배, 「18세기 후반-19세기 전반 ‘네바-볼가 수로체계’와 배 끄는 인부 부를라크」, 『역사와경계』 (71), 부산경남사학회, 2009.
박지배, 「1870-1905년 국제경기의 변동과 러시아 농민의 대도시 이주」, 『서양사론』 (96), 한국서양사학회, 2008.
박지배, 「1760-1825년 러시아의 대영 무역정책의 변화와 영국의 원자재 확보의 다변화」, 『러시아연구』 17(2), 러시아연구소, 2007.
박지배, 「1760-1825년의 對서구 무역이 러시아 경제에 미친 영향-對영국 수출무역을 중심으로-」, 『서양사론』 (91), 한국서양사학회, 2006.
박지배, 「나폴레옹의 “대륙봉쇄체제”와 러시아의 對영국 수출무역」, 『러시아연구』 15(2), 러시아연구소, 2005.
♦ 저서
박지배(공저), 『20세기 서양의 일상과 풍경』 (도서출판 선인, 2019)
박지배(공저), 『접경 공간의 형성 : 조우와 충돌』 (소명출판, 2019)
박지배, 『근대세계체제에서 러시아와 영국의 무역』 (신서원, 2017)
박지배(공저), 『발트해 바이킹의 바다, 북유럽의 숨겨진 보석』 (바다위의정원, 2017)
박지배(공저), 『동서양 역사 속의 다문화적 전개 양상2』 (경진출판사, 2015)
박지배(공저), 『러시아 근대사』 (민속원, 2014)
박지배(공저), 『유라시아의 생활양식과 정체성』 (민속원, 2010)
박지배, 『표트르, 러시아를 바꾸다』 (웅진씽크빅, 2010)
박지배(공저), 『러시아의 생활양식과 정체성』 (민속원, 2010)
박지배(공저), 『엇갈린 국경, 길 잃은 민족들, 러시아와 동유럽의 사례』 (동북아역사재단, 2009)
박지배, 『표트르 대제』 (살림, 2009)
박지배(공저), 『역사상의 강, 물길과 경제문화』 (주류성, 2009)
박지배(공저), 『독립국가연합의 한민족청소년 현황 및 생활실태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7)
· 전임연구원 임경화 교수
· Tel : 02-820-6780
· E-mail : ami1226@cau.ac.kr / imkyounghwa0725@gmail.com
· 소속 :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 학력 : 일본 도쿄대학(東京大學) 문학박사
· 전공 : 일본문학(한일비교문화, 코리안 디아스포라 비교연구)
- 학술활동 및 주요연구실적
- ♦ 논문
임경화, 「접경지대에 남겨진 조선어―소비에트 시대 사할린 코리언들의 언어 문제」, 『역사비평』 136, 2021.
임경화, 「북한 체제 형성 초기 레닌 사상 수용의 양상: 모스크바 외국문서적출판부 한글판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동양정치사상연구』 20(1), 2021.
임경화, 「마이너리티의 역사기록운동과 오키나와의 일본군 ‘위안부’」, 『대동문화연구』 112, 2020.
임경화, 「쓰시마(対馬) 현대사 속의 재일조선인: ‘망향의 섬’으로서의 장소성에 주목하여」, 『통일인문학』 82, 2020.
임경화, 「한일 페미니즘 순환의 (불)가능성-우에노 지즈코의 일본군 '위안부'론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47, 2019.
임경화, 「오키나와와 재일조선인 연대의 가능성― 1972년 오키나와 복귀 이후」, 『로컬리티 인문학』 21, 2019.
임경화, 「다카하시 도루의 ‘조선문학’ 인식: ‘조선어’ 문학의 위치에 주목하여」, 『동방학지』 186, 2019.
임경화, 「국내 비한국계 코리언들의 언어현실과 언어적 공공성: 국내 중국 조선족의 사례를 중심으로」, 『통일인문학』 73, 2018.
임경화 외, “Communist Visions for Korea’s Future: The 1920-30s”,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1), 2017.
임경화, “THE ROLE OF MODERN SHISHI IDEALS IN SYMPATHETIC JAPANESE APPRAISALS OF AN CHUNGGŬN”, Acta Koreana 20(1), 2017.
임경화, 「오키나와와 재일조선인, 상호 응시의 ‘전후’사 - 1950~60년대 오키나와와 재일조선인의 조국지향운동을 중심으로」, 『비교한국학』 24(3), 2016.
임경화, 「식민지기 ‘조선문학’ 제도화를 둘러싼 접촉지대로서의 ‘민요’ 연구: 고정옥 졸업논문을 통해 본 경성제대 조선문학 강좌의 성격」, 『동방학지』 177, 2016.
임경화, 「‘붉은 한글운동’의 기원: 소련시대 연해주 고려인 사회의 언어운동」, 『한국문화』 73, 2016.
임경화, 「'분단'과 '분단'을 잇다 : 미군정기 오키나와의 국제연대운동과 한반도」, 『상허학보』 44, 2015.
임경화, 「러일전쟁 전후 일본 혁명가들의 톨스토이 수용 양상」, 『인문논총』 72(2), 2015.
임경화, 「오키나와의 아리랑 - 미군정기 오키나와의 잔류 조선인들과 남북한」, 『대동문화연구』 89, 2015.
임경화 외, 「고려인 작가 문금동과 그의 장편소설 『인정루』 소개 및 시론적 고찰」, 『한국학연구』 35, 2014.
임경화, 「해방 후 재일조선인 사회의 문화 자립 운동과 <아리랑>」, 『사이間SAI』 17, 2014.
임경화, 「원폭 투하를 막아라 ― 한국전쟁기 북일 평화운동의 전개와 의미」, 『일본역사연구』 39, 2014.
임경화, 「‘민족’에서 ‘인민’으로 가는 길: 고정옥 『조선민요연구』의 보편과 특수」, 『동방학지』 163, 2013.
임경화, 「그곳에서는 모두가 노래를 불렀다: 일본 민중가요 운동의 루트로서의 소련 체험」, 『한국학연구』 30, 2013.
임경화, 「목소리로 쇄신되는 ‘조선’: 1945~1955년의 일본 좌파운동과 조선 이미지」, 『한림일본학』 22, 2013.
임경화, 「계봉우의 조선 시가 연구 고찰: 소련 시대 민족문화 창출 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학연구』 29, 2013.
임경화, 「망각된 냉전체제하의 <아리랑>-1963년, 남북단일팀 국가가 되기까지의 남북한 <아리랑> 정전화 과정」, 『상허학보』 37, 2013.
임경화, 「북한 노래의 탄생 -사회주의체제 형성기 인민가요 성립 고찰-」, 『북한연구학회보』 15(2), 2011.
임경화, 「동아시아 '계급연대론'의 기원 -고토쿠 슈스이의 직접행동론과 민족문제-」, 『인문논총』 60, 2011.
임경화, 「통합하는 민요, 저항하는 민요 : 남북한의 ‘민요’ 개념 차이에 관한 고찰」, 『한국학연구』 24, 2011.
임경화, 「식민지 조선에서의 창가, 민요 개념 성립사 ―일본에서의 번역어 성립과 조선으로의 수용 과정 분석」, 『대동문화연구』 71, 2010.
임경화, 「‘민족’의 소리에서 ‘제국’의 소리로 - 민요 수집으로 본 근대 일본의 민요 개념사 -」, 『일본연구』 44, 2010.
임경화, 「志士와 文人, 정치와 문학 ―일본에서의 漢詩의 근대와 지식인」, 『대동문화연구』 65, 2009.
임경화, 「식민지기 일본인 연구자들의 향가 해독 : 차용체(借用體)에서 국문으로」, 『國語學』 51, 2008.
임경화, 「萬葉集 作者層論의 딜레마」, 『일본학보』 70, 2007.
♦ 저서
임경화 외, 『동아시아한국학의 분화와 계보』 (소명출판, 2013).
임경화 외, 『동아시아, 근대를 번역하다』 (점필재, 2013).
임경화 외, 『民謡からみた世界音楽: うたの地脈を探る』 (ミネルヴァ書房, 2012).
임경화 외, 『식민지 시기 전후의 언어 문제』 (소명출판, 2012).
임경화 외, 『개념의 번역과 창조』 (돌베개, 2012).
임경화 외, 『향가의 깊이와 아름다움』 (보고사, 2009).
임경화 외, 『근대의 노래와 아리랑』 (소명출판, 2009).
임경화 외, 『신라의 발견』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8).
임경화 외, 『문예공론장의 형성과 동아시아』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8).
♦ 역서
임경화, 『누구를 위한 '화해'인가 : 《제국의 위안부》의 반역사성』 (푸른역사, 2016).
임경화, 『식민지 조선의 언어 지배 구조』 (소명출판, 2013).
임경화, 『나는 사회주의자다』 (교양인, 2011).
임경화, 『키 재기 외』 (을유문화사, 2010).
임경화 외, 『여성 표현의 일본 근대사』 (소명출판, 2008).
· 전임연구원 민후기 교수
· Tel : 02-820-6694
· E-mail : found76@cau.ac.kr
· 소속 :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 학력 : 연세대학교 문학박사
· 전공 : 역사학(중국고대사)
- 학술활동 및 주요연구실적
- ♦ 학술활동
2021.03 - 2022.02 : 중앙대학교 객원교수, 연구전담교수
2018.07 - 2020.07 : 중앙대학교 HK연구교수
2009.07 - 2014.10 : 연세대학교 연구교수
2010.02 - 2011.02 : 북경대학교 방문학자
♦ 연구분야
중국고대사, 동북아 고대 접경
♦ 논문
민후기, 「『史記』禮書와 三家注 解題와 譯註」, 『학림』48, 연세사학연구회, 2021
민후기, 「확장하는 외연, 그리고 연구의 심화 - 2018~2019년의 한국 학계의 중국고대사연구 -」, 『역사학보』(247), 역사학회, 2020
민후기, 「燕 封建의 재구성 ― 琉璃河 출토 有銘 청동기의 분석을 중심으로 ―」, 『동양사학연구』(151), 동양사학회, 2020
민후기, 「春秋초기 魯北 지역 族國들과 세력권」,『중국사연구』(126), 중국사학회, 2020
민후기, 「춘추초기 서, 북의 족국들과 접경 ― 有銘 청동기의 출토지와 銘文을 중심으로 ―」, 『중국고중세사연구』(56), 한국고중세사학회, 2020
민후기, 「後漢시기 察擧 관료의 출신지와 任官」, 『동아시아고대학』(54), 동아시아고대학회, 2019
민후기, 「연(燕)의 형성 전후 접경의 변화 - 상(商) 후기, 서주(西周) 초기 태항산맥(太行山脈) 동쪽 출토 청동기 명문(銘文)의 분석」, 『동북아역사논총』(63), 동북아역사재단, 2019
민후기, 「西周 중, 후기 太行산맥 동쪽의 접경의 변화 ― 有銘 청동기 출토 정황을 중심으로 ―」, 『중국고중세사연구』(51), 중국고중세사학회, 2019
민후기, 「前漢 형성기 官爵者들의 출신지와 爵制의 성격과 변화 ― 劉邦집단을 중심으로 ―」, 『중국고중세사연구』(49), 중국고중세사학회, 2018
민후기, 「2003년 眉縣 楊家村 출토 청동기 銘文 자료의 考釋 -<逨盤>, <四十二年逨鼎>, <四十三年逨鼎>, <單叔鬲>, <單五父方壺>, <逨盉>, <盂>의 注解를 중심으로 -」, 『韓國史學史學報』(36), 한국사학사학회, 2017
민후기, 「西周시기 ‘單’ 族ㆍ國의 위치와 世系의 재구성」, 『중국고중세사연구』(45), 중국고중세사연구, 2017
민후기, 「西周시대의 山東: 有銘 靑銅器 출토지 분석을 통해본 山東 지역 封建」, 『역사학보』(230), 역사학회,2016
민후기, 「西周시대의 南方 - 靑銅器 銘文 출토지 분석을 중심으로 본 지리적 환경과 封建 -」 , 『중국학보』(76), 한국중국학회, 2016
민후기, 「西周시대의 宗周와 그 주변」, 『중국고중세사연구』(40), 중국고중세사학회, 2016
민후기, 「西周王朝의 晉, 豫, 燕 지역의 封建 - 山西, 河南, 河北, 北京, 遼寧, 天津, 內蒙古 지역 遺址와 銘文 출토지의 분석 -」 , 『동양사학연구』(134), 동양사학회, 2016
민후기, 「한제국(漢帝國) 하서(河西) 변경 사졸(士卒) 들의 질병과 치료: 거연(居延), 돈황(敦煌) 출토간독(簡牘)자료를 중심으로」, 『의사학』24(1), 2015
민후기, 「秦漢시기 考古 遺址의 분포와 특징 ― 거주지와 교통로 추론을 중심으로 ―」, 『중국고중세사연구』(32), 중국고중세사학회, 2014
민후기, 「西周·春秋·戰國시기 거주지와 교통로 추론」, 『중국고중세사연구』(31), 중국고중세사학회, 2014
민후기, 「靑銅器 銘文의 商에서 西周 樣式의로의 변화 - 靑銅器 銘文에 나타난 '作器者'와 '作器對象者' 분석을 중심으로-」, 『동국사학』(55),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3
민후기, 「商王朝의 세력 범위 추론― 考古 遺址와 靑銅器 銘文 출토지의 분석을 중심으로」, 『중국학보』(68), 한국중국학회, 2013
민후기, 「戰國 楚의 封爵制 고찰」, 『중앙사론』(35), 중앙사학연구소, 2012
민후기, 「列侯, 關內侯 成立考」, 『중국학보』(65), 한국중국학회, 2012
민후기, 「戰國시기 秦의 爵制補論 - 爵의 賜與, 官·爵의 관계, 爵·祿관계 등을 중심으로 -」, 『역사와 실학』(44), 역사실학회, 2011
민후기, 「西周왕조의 族의 재배치와 同姓不婚 - 東征 이후 西周王朝의 族 통일정책에 대한 검토 -」, 『동방학지』(153), 국학연구원, 2011
민후기, 「西周시대 商族 遷徙 지역의 추론 -『殷周金文集成』의 西周시기 商 양식 도상문자 분포를 중심으로-」 , 『중국사연구』(68), 중국사학회, 2010
민후기, 「商, 西周시대 商 樣式 圖象文字의 추이 ― 『殷周金文集成』 정리를 통한 商族 추이의 추론 ―」, 『중국고중세사연구』(24), 중국고중세사학회, 2010
민후기, 「郎官의 屬官化를 통해 본 漢代 官僚제도의 발달」, 『역사와 실학』(36), 역사실학회, 2008
민후기, 「中國 古代의 ‘勢’, ‘聖’론의 변화와 專制君主論의 형성」, 『동방학지』(138), 국학연구원, 2007
민후기, 「春秋시대의 爵·官·軍 一體論 - 位階, 官職, 軍職 미분리 상태의 國家運營論」, 『중국학보』(54), 한국중국학회, 2006
민후기, 「{漢書注} 성립에 미친 家學의 성격과 영향- 顔之推의 {顔氏家訓} 분석을 중심으로 -」, 『동방학지』(133), 국학연구원, 2006
민후기, 「議/請/減/贖?官當의 기원과 변화」, 『중국사연구』(37), 중국사학회, 2005
민후기, 「西周 五等爵制의 기원과 성격- 西周 金文의 분석을 중심으로」, 『중국학보』51, 2005
민후기, 「西周 國의 等差的 族聯合―金文을 중심으로 한 西周 內爵의 탐색―」, 『동양사학연구』(91), 동양사학회, 2005
민후기, 「殷商의 수평적 族聯合과 ‘民族’의 형성 - 靑銅器 金文을 중심으로 한 內爵의 기원에 대한 탐색 -」, 『중국고중세사연구』(13), 중국고중세사학회, 2005
♦ 저서
민후기(공저), 『요서지역의 청동기문화』 (동북아역사재단, 2019)
민후기(공저), 『중국 출토문헌의 새로운 세계』 (주류성, 2018)
민후기(공저), 『하상주단대공정-중국 고대문명 연구의 허와 실』 (동북아역사재단, 2008)
♦ 역서
데이비드 N. 커틀러, 민후기 역, 『갑골의 세계』 (학연문화사, 2008)
· 전임연구원 이형규 연구교수
· Tel : 031-330-4469
· E-mail : leehk69@gmail.com
· 소속 :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 학력 : 미국 보스톤 대학교(Boston University) 종교학 박사
· 전공 : 종교와 사회
- 학술활동 및 주요연구실적
- ♦ 학술활동
2022.12.16. 2022 한국사회학회 정기사회학대회, "한국의 내적접경: 코뮤니타스로서 고려인 마을" 발표
2021.7.18 : 2021 EASSSR Jeju Conference 논문 발표: “The Sacred Engagement in The Crisis of Myanmar: A Faith-Based Humanitarian Intervention in Korea"
2021.5.15 :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21년 봄 학술대회 <변동속의 민주주의> 논문발표 “낯선 민주주의와의 만남: 접경과 아시아 민주주의의 위기와 개입”
♦ 연구분야
종교와 정치연구, 민주주의와 인권의 확산과 접경
♦ 논문
이형규, 「지구윤리로서 마틴 루터 킹의 사회적 인격주의 연구」, 『한국종교』 55,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23
이형규, 「A Study of the Black Church as Mobilization Asset for Social Activism」, 『기독교사회윤리』 55,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23
이형규, 「이념의 경계를 넘은 종교-경제공동체: 몬드라곤과 사르보다야 운동 비교연구」, 『한국종교』 52,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22
이형규, 「미얀마 민주주의 위기와 한국종교: 저항 민주주의에서 국경을 넘어 개입민주주의로」, 『Asian Journal of Religion and Society』 10(1), 한국종교사회학회, 2022
Lee Hyung-Kyu, “State Sovereignty, God's Sovereignty, and Native Sovereignty : The Political Theology of Making New Borders ”, Theology and Praxis 75, 한국실천신학회, 2021.
이형규, 「한반도 분단체제하 종교폭력에 대한 비판적 고찰」, 『 Asian Journal of Religion and Society』 8(2), 한국종교사회학회, 2020.
이형규, 「크리스천 스미스의 인격주의 사회이론 연구 : 종교사회학을 위한 사회존재론」, 『현상과 인식』 43 (4),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9.
Hyung Kyu Lee, “The Clash of Civilizations and the Common Good: A Dialogue with East Asian Religions”, Asian Journal of Religion and Society 7 (2), 한국종교사회학회, 2019.
이형규, “Socio-Ethical Inquiry into the Modern Economy -Dialogue with Legacy of Adam Smith and Karl Marx”, 『기독교사회윤리』 (40),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8.
이형규, 「종교자유와 인도주의적 개입: 북한과 한국의 인권문제 연구」, 『복음과 선교』 41(1),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8.
이형규, “The Role of Ritual for Peacemaking of Racial Conflicts in the US - Theories of Conflict Resolution in Complementary Practice -”, 『신학과 실천』 (50), 한국실천신학회, 2016.
· 전임연구원 정동민 연구교수
· Tel : 031-330-4875
· E-mail : jungdongmin@hufs.ac.kr
· 소속 :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 학력 : 한국외국어대학교 문학박사
· 전공 : 한국고대사(고구려 전쟁사)
- 학술활동 및 주요연구실적
- ♦ 연구분야
한국역사(고구려 전쟁사, 고대 접경)
♦ 논문
정동민, 「4세기 후반 高句麗의 南方 接境과 廣開土王의 對百濟戰 水軍 운용」, 『한국고대사탐구』 (38),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21.
정동민, 「遭遇와 衝突로 高句麗 後期를 이해하다」, 『선사와 고대』 (65), 한국고대학회, 2021.
鄭東珉, 「612年隋炀帝第一次远征高句丽的隋军军团编制問題硏究」, 『公關世界』 2020-11, 公關世界雜志社, 2020.
정동민, 「612년 高句麗-隋 전쟁의 전개 양상」, 『한국고대사탐구』 (34),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20.
정동민, 「고대 동아시아의 接境, 遼西」, 『중앙사론』 (50), 중앙사학연구소, 2019.
정동민, 「613・614년 高句麗-隋 전쟁에 보이는 遼西 상황과 隋軍의 전략」, 『서강인문논총』 55,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정동민, 「요서에서 고구려-수 전쟁을 새롭게 읽다 - 이정빈, 2018 『고구려-수 전쟁 – 변경 요서에서 시작된 동아시아 大戰』-」, 『고구려발해연구』 63, 고구려발해학회, 2019.
정동민, 「598년 高句麗-隋 전쟁의 배경과 충돌 양상」, 『역사문화연구』 (67),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8.
정동민, 「고구려 騎乘用 馬具의 출토 양상과 계통」, 『역사문화연구』 (64),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7.
정동민, 「최근 중국 학계의 고구려 전쟁사 연구」, 『군사』 (102),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17.
정동민, 「612년 고구려 원정 隋軍의 군단 편성과 兵種 구성」, 『한국고대사연구』 (82), 한국고대사학회, 2016.
정동민, 「韓國古代史學會 <集安高句麗碑> 判讀會 結果」, 『한국고대사연구』(70), 한국고대사학회, 2013.
정동민, 「재갈을 통해 본 高句麗와 前燕의 교류양상」, 『역사문화연구』 (39),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1.
정동민, 「高句麗 重裝騎兵의 特徵과 運用形態의 變化」, 『한국고대사연구』 (52), 한국고대사학회, 2008.
♦ 저서
JUNG DongMin(Co-author), The Borderlands of China and Korea: Historical Changes in the Contact Zones of East Asia
(US Lanham: Lexington Books, 2020)
정동민(공저), 『고대 군사사와 동아시아』 (경인문화사, 2020)
정동민(공저), 『중국 소재 고구려 유적과 유물(Ⅶ, Ⅷ, Ⅸ, Ⅹ)』 (동북아역사재단, 2020)
정동민(공저), 『접경공간의 형성 – 조우와 충돌』 (소명출판, 2019)
정동민(공저), 『동북공정 이후 중국의 고구려사 연구동향 – 분석과 비판 2007-2015』 (역사공간, 2017)
· 전임연구원 정일교 연구교수
· Tel : 031-330-4769
· E-mail : waxtree2p@hanmail.net
· 소속 :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 학력 : 하북대학 역사학 박사
· 전공 : 역사학(중국고대사, 근세사)
- 학술활동 및 주요연구실적
- ♦ 논문
정일교, 「A study on the Transition of the Sichuanese Currency during the Northern Song Dynasty」, 『인문논총』, 2022.
정일교, 「南宋時期 전쟁이 화폐에 끼친 영향-端平入洛 시기 會子의 발행량을 중심으로」, 『역사학연구』, 2022.
정일교, 「宋代 正祀와 淫祀에 관한 認識-朝廷, 官員, 士人의 淫祀觀을 중심으로」,『인문과학논총』 , 2021.1
정일교, 「南宋 開禧年間 北伐戰役과 物價變動의 關係」, 『역사문화연구』, 2021.
정일교, 「北宋時期 河東地域 錢法과 鐵錢」, 『인문과학논총』, 2020.
정일교, 「北宋時期 銅錢監의 規模와 人的構成에 관한연구」, 『역사학연구』, 2020.
정일교, 「北宋 中後期 銅錢의 鑄造와 流通」, 『중국학연구』, 2020.
정일교, 「宋代 都市民 娛樂文化의 形成과 發展-南宋 臨安 都市民 娛樂文化의 商業化 傾向을 중심으로」,『전북사학』 , 2020.
정일교, 「宋代 銅錢監의 設置와 分」布, 『역사문화연』구, 2019.
정일교, 「宋人의 高麗 歸化 原因과 유형」, 『인문논총』, 2019.
정일교, 「宋錢 유출에 대한 고찰-宋錢의 유출경로를 중심으로-」, 『전북사학』, 2017.
정일교, 「宋錢이 고려화폐에 끼친 영향」, 『중국사연구』, 2017.
정일교, 「隆興北伐 시기 물가변동 연구」, 『중앙사론』, 2016.
정일교, 「南宋時期 財政과 軍費 比重 硏究」, 『동양사학연구』, 2016.
정일교, 「南宋代 銅錢 鑄造에관한 고찰」, 『동양사학연구』, 2015.
정일교, 「北宋 四川地域 紙幣發行 背景과 流通狀況」, 『역사문화연구』, 2014.
정일교, 「宋代 僞造紙幣硏究」, 『인문학연구』, 2014.
정일교, 「南宋時期 紙幣 發行 現況과 그 特徵」, 『동양사학연구』, 2013.
정일교, 「南宋時期 紙幣 發行 硏究」 , 『인문학연구』, 2012.
정일교, 北宋时期四川地区物价变动研究, 송사연구논총, 2012.
정일교, 南宋初 金과의 戰爭時期 物價 變動 硏究, 역사문화연구, 2012.
· 전임연구원 바딤 아쿨렌코 연구교수
· Tel : 02-822-6140
· E-mail : patimka@hanmail.net
· 소속 :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 학력 :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동양학대학 역사학박사
· 전공 : 역사학 (한국사)
- 학술활동 및 주요연구실적
- ♦ 학술활동
2022.05 - Editorial Board, the Koreanology Journal (Russia)
2013.04 - 2022.06 극동연방종합대학교 동양학대학 한국학과 전임강사
Far-Eastern Federal University, Department of Korean Studies, Assistant Professor
2016.02-2020.07 극동연방종합대학교 동양학대학 한국학연구센터 연구원
Far-Eastern Federal University, Center for Korean Studies, Research Fellow
♦ 연구분야
한국사, 동아시아 역사, 민족 정체성, 한-러 관계사
Korean History, History of East Asia, ethnic identity, History of Russian-Korean relations
♦ 논문
Akulenko V.S. Shuttles of the Ethnic Borders -Case of the Mixed Identity of Chagubya and Argubya in Vladivostok, Russia-. 사이間SAI, vol. 32, 2022, pp. 225- 255.
Akulenko V.S. Cooperation in Fisheries in Northeast Asia: Seafood Trade and Fishing Quotas Exchange. The Bulletin of Irkutsk State University. Series Political Science and Religion Studies, vol. 38, 2021, pp. 24-30.
https://doi.org/10.26516/2073-3380.2021.38.24 (in Russian)
아쿨렌코 바딤, 「북한의 민족형성론을 통하여 본 고조선사의 인식 변천」, 경희대학교 한국고대사고고학연구소 제3회 국제학술회의 고조선의 네트워크, 2021, 297 – 313 쪽.
Akulenko V.S. Brief Overview of Trilateral Gas Cooperation between Russia, ROK and DPRK: Case of the TRANS-Korean Gas Pipeline. "New Wave" of Korean studies at the Far Eastern Federal University : collection of scientific papers, vol. 1(18), 2021, pp. 100-108. (in Russian)
Akulenko V.S. Image of Russia and Russians in the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Joseon Wangjo Sillok). The Bulletin of Irkutsk State University. Series History, vol. 34, 2020, pp. 58-64. https://doi.org/10.26516/2222-9124.2020.34.58 (in Russian)
Akulenko V.S. History of bilateral cooperation in the field of fisheries between the Russisan Federation and the Republic of Korea. Vestnik of Saint Petersburg University. International Relations, vol. 13, issue 2, 2020, pp. 169-190. https://doi.org/10.21638/spbu06.2020.204 (in Russian)
Akulenko V.S. Ethnogenesis of The Korean People: South and North Korean Scholarly Perspectives : Monograph. Vladivostok, 2019 182 p. (in Russian)
Akulenko V.S., Voloshchak V.I…Nowadays Rajin: transport, education, trade and recreation. Oriental Institute Journal. 2019, № 1. pp. 95–110. doi: dx.doi.org/10.24866/2542-1611/2019-1/95-110 (in Russian)
Akulenko V.S. Vladivostok and the migration of Korean people to the Russian Empire. IIAS Newsletter. №82. 2019 p.20.
Akulenko V.S. Theories of ethnogenesis of Korean people in the DPRK and the ROK during the first stage of their formation (1948 – beginning of 1960ss). RSUH/RGGU Bulletin. № 12 (45). Part 2. 2018, pp. 177-192. (in Russian)
Akulenko V.S. Modern views of South Korean scholars on the Problem of Ethnogenesis of the Koreans. Genesis: historical researches. Vol. 3. 2018 pp.9-15. (in Russian)
Akulenko V.S. Understanding of ethnos nature by the scholars from the ROK and the DPRK. International Research Journal. Issue №1(67). 2018, pp. 45-50. (in Russian)
Akulenko V.S. Rethinking the Theories of Ethnogenesis of the Koreans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DPRK in 1960s. Far Eastern Affairs. Vol. 6. 2017, pp. 68-78. (in Russian)
Akulenko V.S. Oppositional Historical School of the Republic of Korea. Electronic Scientific Journal of the Pacific National University. Vol. 8, № 1(2). 2017, pp. 45 – 52. URL: http://pnu.edu.ru/media/ejournal/articles-2017/TGU_8_74_1.pdf (in Russian)
Akulenko V.S. Juche Theory of Ethnogenesis of Korean Nation. Humanities Research in the Russian Far East. №2(40). 2017, pp. 43 - 51. (in Russian)
Akulenko V.S. Theories of Ethnogenesis of Korean People Made by ROK’s Historians of First Generation. Korean Studies in Kazakhstan. №5(1). 2017, pp. 270 - 285. (in Russian)
Akulenko V.S. Reflection of Nationalist Ideology at South Korean Historian’s Papers on Problem of Korean Ethnogenesis. Center for Korean studies Journal. №1(10). 2016, pp. 5 - 11. (in Russian)
Akulenko V.S. Comparative characteristic of Russian and Korean Nationalism. Oriental Institute Journal. №3(31). 2016, pp. 67 - 81. (in Russian)
Akulenko V.S. Influence of Orthodox Christianity over the emergence of Russian nationalistic ideology in The Russian Empire.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vol. 51 (Autumn, 2015). (in Russian), 2015
Akulenko V.S. Pollock and Bilateral Relations between Russian Federation and Republic of Korea in the Field of Fisheries. Journal of Siberian and Far Eastern Studies. Vol. 12 (Summer 2015). (in Russian), 2015
· 전임연구원 양민아 연구교수
· Tel : 02-822-6140
· E-mail : minayang919@gmail.com
· 소속 :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 학력 :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대학교 사회학 박사
· 전공 : 문화사회학(러시아에서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문화)
- 학술활동 및 주요연구실적
- ♦ 학술활동
2022.03 – 현재 Book review editor, Asian Dance Journal (ADJ)
2019.09 - 2022. 09 : 중앙대학교 외국학연구소 HK연구교수
2015.01 - 현재 : (사)재외한인학회 기획/연구이사
2014.04 - 현재 : 무용역사기록학회 상임이사
2014. 04- 2022-02. Editorial board member, Asian Dance Journal (ADJ)
♦ 연구분야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화연구, 접경예술, 소비에트 공연예술과 스포츠
♦ 논문
양민아, 「초국가적 유라시아 한인 스포츠 공동체 네트워크 형성을 위한 제언: 세계한민족축전을 중심으로」, 『인문사회21』 13(4), (사)아시아문화학술원, 2022.8.
양민아, 「1950-60년대 소비에트 콜호스의 스포츠와 유라시아 지역의 초국가적 축구 문화 연구: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주 한인 콜호스 FC 폴리톳젤을 중심으로」, 『한국 시베리아연구』 26(1), 한국-시베리아센터, 2022.3.
양민아, 「문화 허브로서 유라시아 한인 예술단체의 역할과 비전 – 카자흐스탄 국립 고려극장의 춤예술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문학과 예술』 41, (사)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2.3.
양민아, 「1920-30년대 상트페테르부르크 한인들의 ‘고려분과’ 설립과 한명세의 문화예술 활동 연구: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 중앙 문학·예술 아카이브(ЦГАЛИ СПб) 자료를 중심으로」, 『동유럽발칸연구』, 45(3), 동유럽발칸연구소, 2021.8.
양민아, 「1950년대 북-소 공동제작 영화에 나타난 북한무용의 트랜스 컬처성 연구」, 『한국문학과 예술』 41, (사)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1.6.
양민아, 「1956-57년 국립 최승희 무용연구소의 소련 순회공연과 공연작품들의 글로컬리티 연구」, 『무용역사기록학』 60, 무용역사기록학회, 2021.3.
양민아, 「한-소 스포츠 교류에 나타난 소비에트 한인 스포츠인들의 초국가적 정체성 연구 –넬리 김과 유리 채를 중심으로-」, 『슬라브 학보』 35(4), 2020.12.
Mina Yang, “The Formation Process of Soviet Koreans’ Transnational Identity as New Soviet Citizen from the 1920s to the 1930s: The Physical Cultural Activities in Primorye as Recorded in the Soviet Korean Newspaper Sunbong (Avant Garde)”, Pacific Focus 35(2), Inha Univ., 2020.8.
양민아, 「한·러 스포츠문화 교류의 시원(始原): 넬리 김(Нелли Ким)의 기계체조 활동사를 중심으로」, 『동유럽발칸연구』, 35(2), 동유럽발칸연구소, 2020.5.
양민아, 「유라시아 춤문화 교류의 시원(始原)_ 1920년대 경성의 <예술학원(藝術學院)>을 중심으로」, 『한국문학과 예술』 33, (사)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0.3.
A.I. Kuropjatnik, Mina Yang, “Discourses of Collaboration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Russia in the Post-Soviet Era: A Cultural Outlook”, Pacific Focus 32(3), Inha Univ., 2017.12.
양민아, 「재외한인을 위한 한국전통공연예술교육의현황과 과제 연구: 러시아상트페테르부르크 지역을 중심으로」, 『예술교육연구』 13(4), (사)한국예술교육학회, 2015.12.
양민아, 「초기 소비에트 연방의 민중문화로서의 춤 공연예술 현상연구」, 『무용역사기록학』 39, 무용역사기록학회, 2015.12.
양민아, 「소련 해체 이후, 한국 전통춤을 통한 러시아 한인들의 한국문화에 대한 태도 변화 연구-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소재한국청소년문화교육센터 <난(蘭)>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연구』 27, 한국문화연구원, 2014.12.
양민아, 「1920-30년대 연해주 한인들의공연예술활동 현황연구」, 『재외한인연구』 34, (사)재외한인학회, 2014.10.
양민아, 「1920년대 러시아한인예술단 내한공연의 무용사적 의미: 디아스포라 문화연구의 관점으로」, 『무용역사기록학』 34, 무용역사기록학회, 2014.9.
Мина Янг, “Мультикультурализм и Южнокорейское общество”, Вестник СПбГУ 12(1), СПбГУ, 2012.2.
Мина Янг, “Межкультурное взаимодействие в процессе изучения корейского танцевального искусства (на примере студентов центра «Нан», Санкт-Петербург)”, Вестник СПбГУ 12(3), СПбГУ, 2011.9.
양민아,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화 속의 한국 전통 춤의 사회적 역할 – 러시아 상트 페테르부르크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무용기록학』 15, 한국무용기록학회, 2008.10.
♦ 저서
양민아(공저), 『예술한류와 코리안 디아스포라 공연예술』(한국종합예술학교 전통예술원, 2021).
양민아(공저), 『아시아와 북방, 문화접점의 확인: 우리는 어디서 어떻게 만나고 있는가?』(다해, 2021).
양민아(공저), 『코리아타운 사람들』(북코리아, 2019)
양민아(공저), 『재외한인문학 예술과 치료』(지식과교양, 2018)
· 전임연구원 박현옥 연구교수
· Tel : 02-822-6140
· E-mail : okladys@daum.net
· 소속 :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 학력 : 중앙대학교 문학박사
· 전공 : 역사학(한국 근현대사)
- 학술활동 및 주요연구실적
- ♦ 연구분야
한국 /근현대사, 교육사
♦ 논문
박현옥, 「경성여상 맹휴를 통해 본 여학생의 사회운동」, 『한국독립운동사연구』 83,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23.
박현옥, 「일제하 경성의 자본주의 소비문화와 여자실업학교」, 『서울과 역사』 113, 서울역사편찬원, 2023.
박현옥, 「1930년 서울지역학생 연합시위와 근화여학교」, 『인문과학연구』 29, 인문과학연구소, 2019.
장규식·박현옥, 「제2차 조선교육령기 사립중등학교의 정규학교 승격운동과 식민지 근대의 학교공간」, 『중앙사론』 32, 중앙사학연구소, 2010.
박현옥, 「일제하 역사교과서와 식민지 지배 이데올로기- 『보통학교 국사』와 『초등국사』를 중심으로」, 『중앙사론』 25,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07.
· 전임연구원 주채영 연구교수
· Tel : 02-822-6140
· E-mail : chaeyoungjoo@gmail.com
· 소속 :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 학력 : 서강대학교 문학박사
· 전공 : 사학(조선후기사)
- 학술활동 및 주요연구실적
- ♦ 학술활동
2023.03 ~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선임연구원
2023.03 ~ 서강대학교 강사
2020.03 ~ 유원대학교 강사
2018.09 ~ 2019.06 한세대학교 강사
2021.03~2021.12 TVN 드라마 <어사와 조이> 고증 및 자문
2021.08~2022.11 영화 <올빼미> 역사자문
2022.03 ~ 2023.01 MBC 드라마 <조선혼인금지령 – 금혼령> 고증 및 자문
2023.05 ~ 2023.12 KBS 드라마 <혼례대첩> 고증 및 자문
2023.06 ~ 넷플릭스 드라마 <탄금> 고증 및 자문
2023.11 ~ JTBC 드라마 <옥씨부인전> 고증 및 자문
2024.08 ~ 넷플릭스 드라마 <동궁> 고증 및 자문
♦ 연구분야
한국사(조선시대사), 역사콘텐츠, 공공역사
Tel : 02-822-6140
Tel : 031-330-415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