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단 소개Reconciliation and Coexistence in Contact Zones

참여연구원
· 연구단장 손준식 교수
· Tel : 02-820-5143
· E-mail : chinarf@cau.ac.kr
· 소속 : 중앙대학교 역사학과
· 학력 : 대만 국립정치대학(國立政治大學) 문학박사
· 전공 : 역사학(중국근현대사, 대만사)
학술활동 및 주요연구실적
♦ 학술활동
2021.11.24. ~ 12.15 : 접경인문학연구단 지역인문학센터 온라인 인문학 강좌 "동아시아의 접경 공간 - 접경으로서의 타이완" 강의

♦ 논문
손준식‧이사사, 「문화대혁명 시기(1966-1976) <<인민일보>> 보도를 통해 본 중국 정부의 한국 인식」, 『역사문화연구』 79, 2021.
손준식, 「접경 속의 접경: 戰後 臺灣의 眷村 형성과 관리」, 『다문화콘텐츠연구』 35, 2020.
손준식, 「方豪와 <<中西交通史>>: 그 사학사적 의미와 한계」, 『중앙사론』 51, 2020.
손준식·이승찬, 「일제시기 대만 지식인의 조선 인식 –대만문화협회 인물을 중심으로」, 『중앙사론』 48, 2018.
손준식‧이사사, 「헌신의 대가: 한국전쟁 참전 중국군 포로의 귀국 후 삶」, 『역사학연구』 72, 2018.
손준식·이승찬, 「<<매일신보>>(1910-1945) 기사를 통해 본 식민지 조선의 대만 인식」, 『역사문화연구』 63, 2017.
손준식, 「해방 후 세계사 교과서 중국근현대사 관련 서술 변천」, 『역사문화연구』 60, 2016.
손준식·이승찬, 「皇民化時期(1937-1945) 대만 지식인의 민족정체성과 전쟁인식 -『吳新榮日記』를 중심으로」, 『중국근현대사연구』 71, 2016.
손준식, 「다민족·다문화 사회의 정체성 모색 -‘臺灣意識’의 형성과 변천을 통해 본 20세기 대만사」, 『동서양 역사 속의 다문화적 전개 양상2』, 2015.
손준식, 「냉전 초기(1952-1965) 미국원조와 대만교육 –農工職業敎育과 華僑敎育을 중심으로」, 『중국근현대사연구』 66, 2015.
손준식, 「냉전시기(1950-1971) 중화민국 僑務정책의 성격과 한계 –동남아 화교교육을 중심으로」, 『동북아역사논총』 43, 2014.
손준식, 「‘兄弟之邦’에서 ‘兇地之邦’으로 –대한민국과 중화민국의 외교관계(1948-1992)」, 『중국근현대사연구』 58, 2013.
손준식, 「일제시기 대만지식인의 ‘조국의식’과 중국경험 -‘고아의식’의 형성과정과 그 성격을 중심으로」, 『중국근현대사연구』 56, 2012.
손준식, 「일제시기 대만인의 중국 진출 유형과 그 삶」, 『역사민속학』 40, 2012.
손준식, 「식민통치와 다민족·다문화 사회의 반응 –일본의 대만·만주지배와 그 영향을 중심으로」, 『동서양 역사 속의 다문화적 전개 양상』, 도서출판 경진, 2012.
손준식, 「일본 제국주의의 대만, 만주 지배의 특징과 그 영향」, 『근대이후 동아시아 3국의 질서와 변혁』, 동북아역사재단, 2010.
손준식, 「『동아일보』(1920-1940) 기사를 통해 본 식민지 조선의 臺灣 인식」, 『中國學報』 61, 2010.
손준식, 「일제 식민통치에 대한 대만인의 반응과 경찰 이미지」, 『역사문화연구』 37, 2010.
손준식, 「일제 식민지 하 대만 경찰제도의 변천과 그 역할」, 『중국근현대사연구』 47, 2010.
손준식, 「일제 하 ‘대만의식’의 형성 배경과 그 성격」, 『중앙사론』 31, 2010.
손준식, 「祈福과 消災: 중국의 鬼神숭배와 풍습」, 『역사민속학』 27, 2008.
손준식, 「‘皇民化運動’ 이전(1895-1936) 臺灣의 식민통치 협력자」, 『역사문화연구』 31, 2008.
손준식, 「식민지 조선의 臺灣 인식: 『조선일보』(1920-1940) 記事를 중심으로」, 『중국근현대사연구』 34, 2007.
孫準植, 「殖民地朝鮮的臺灣認識 –以『朝鮮日報』(1920-1940)的記事爲中心」, 『輔仁歷史學報』 20, 2007.
손준식, 「식민지 지배와 정체성: 日帝下 ‘臺灣意識’의 형성과정」, 『인문학연구』 40, 2006.
손준식, 「‘同化’와 ‘開化’의 상흔 –식민지 臺灣의 언어정책과 그 영향」, 『중국근현대사연구』 26, 2005.
孫準植, 「近代中國海關緝私法制的建立與華北走私(1933-1937)」, 『國際中國學硏究』 8, 2005.
손준식, 「華北密輸와 南京國民政府의 대응 –밀수단속의 성과와 한계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 34, 2002.
손준식, 「일본의 대만 식민지 지배 –통치정책의 변화를 중심으로」, 『아시아문화』 18, 2002.
손준식, 「密輸 方法과 從事者를 통해 본 華北密輸」, 『역사학보』 172, 2001.
손준식, 「淸朝의 臺灣 認識과 政策」, 『근대중국연구』 1, 2000.
손준식, 「제국대학에서 국립대학으로: 전환기의 타이완 대학」, 대학사연구회 지음, 『전환의 시대 대학은 무엇인가』, 한길사, 2000.
손준식, 「1920年上海米貴原因初探」, 『중앙사론』 14, 2000.
손준식, 「華僑經濟圈과 中國의 華僑政策」, 『민족발전연구』 3, 1999.
孫準植, 「淸末敎育改革與國民敎育」, 『중앙사론』 12·13, 1999.
손준식, 「華北密輸(1933-1937)와 日本의 中國侵略 –밀수의 전개과정을 중심으로」, 『중국근현대사연구』 6, 1998.
손준식, 「淸代 臺灣의 義學 設立과 그 特色」, 『명청사연구』 7, 1997.
孫準植, 「韓國的中國現代史硏究簡介」, 『國外中國近代史硏究』 24, 1994.
孫準植, 「淸代臺灣之義學」, 『國史館館刊』 15, 1993.
孫準植 輯, 「韓國各大學硏究所有關中國近代史硏究之博碩士論文目錄(1953-1990), 『近代中國史硏究通訊』 12, 1991.
손준식, 「淸末의 新式學堂에 대한 一考察 –北京同文館의 變遷過程과 그 運營을 중심으로」, 『중앙사론』 6, 1989.
孫準植, 「簡介韓國的中國現代史硏究」, 『中國歷史學會史學集刊』 20, 1988.
 
♦ 저서
손준식 외, 『중국 근현대사 강의』, 한울, 2019.
손준식 외, 『동서양 역사 속의 다문화적 전개 양상 2』, 경진, 2015.
손준식 외, 『한중관계의 역사와 현실: 근대외교, 상호인식』, 한울, 2013.
손준식 외, 『동서양 역사 속의 다문화적 전개 양상』, 경진, 2012.
손준식 외, 『대만을 보는 눈: 한국-대만, 공생의 길을 찾아서』, 창비, 2012.
손준식 외, 『식민지·점령지하 협력자 집단과 논리 비교』, 선인, 2008.
손준식 외, 『식민주의와 언어: 대만·인도·한국에서의 동화와 저항』, 아름나무, 2007.
손준식 외, 『근대 동아시아 국제관계의 변모』, 혜안, 2002.
손준식 외, 『전환의 시대 대학은 무엇인가』, 한길사, 2000.
손준식, 『戰前日本在華北的走私活動(1933-1937)』, 臺北, 國史館, 1997.

♦ 역서
方豪 저, 손준식 유진희 역, 『중서교통사』 3, 4, 5, 학고방, 2021.
方豪 저, 손준식 유진희 역, 『중서교통사』 1, 2, 학고방, 2019.
劉惠恕 등저, 손준식 역, 『중국근현대 영토문제 연구』,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12.
張澤石 저, 손준식 역, 『중국군 포로의 6.25전쟁 참전기』,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9.
周婉窈 저, 손준식 등 역, 『대만: 아름다운 섬 슬픈 역사』, 신구문화사, 2003.
張存武 저, 손준식 등 역, 『근대한중무역사』, 교문사, 2001.
 
· 참여연구소 소장 이근명 교수
· Tel : .
· E-mail : naryspa@hufs.ac.kr
· 소속 : 한국외국어대학교 사학과
· 학력 : 서울대학교 문학박사
· 전공 : 역사학(중국근세사)
학술활동 및 주요연구실적
♦ 학술활동
2021.11.19. ~ 12.10 : 접경인문학연구단 지역인문학센터 온라인 인문학 강좌 "동아시아의 역사를 뒤바꾼 국제 전쟁" 강의

♦ 논문
이근명, 「12세기 중엽 金의 국가구조와 화북 지배」, 『중앙사론』 53, 2021.
이근명, 「구미 학계의 송대 정치사 이해」, 『韓國史學史學報』 43, 2021. 
이근명, 「북송 중기 募役法의 실시 정황과 지방관」, 『중앙사론』 52, 2020. 
이근명, 「11세기 중반 宋-西夏의 대립과 和約 체결」, 『역사문화연구』 74, 2020. 
이근명, 「중국 전근대 지식인의 王安石 평가」, 『역사와 담론』 92, 2019. 
이근명, 「13세기 초 남송-몽골의 연맹과 端平入洛」, 『역사문화연구』 71, 2019. 
이근명, 「12세기 兩浙 일대의 書院과 讀書人」, 『중국사연구』 119, 2019. 
이근명, 「王安石 政權의 形成과 新舊 兩黨의 대립」, 『역사학보』 240, 2018. 
이근명, 「江寧府 은퇴 시기의 王安石」, 『중국사연구』 116, 2018. 
이근명, 「11세기 중반 宋 – 거란의 접경 지역을 둘러싼 충돌과 외교 교섭」, 『중앙사론』 47, 2018. 
이근명, 「『資治通鑑』의 역사 서술과 北宋 중엽의 정계」, 『韓國史學史學報』 36, 2017. 
이근명, 「北宋 중기의 정계와 王安石의 실각」, 『전북사학』 51, 2017. 
이근명, 「蘇軾 高麗 관련 논설의 譯註(3)」, 『중국사연구』 107, 2017. 
이근명, 「王安石 新法의 시행 경과와 舊法黨의 비판」, 『중앙사론』 44, 2016.
이근명, 「蘇軾 高麗 관련 논설의 譯註(2)」, 『중국사연구』 98, 2015.
이근명, 「왕안석 신법 시기의 대외전쟁」, 『인문학연구』 53(3), 2015.
이근명, 「蘇軾 高麗 관련 논설의 譯註(1)」, 『중국사연구』 97, 2015.
이근명, 「南宋時代 六部架閣庫制의 運用과 그 性格」, 『중앙사론』 41, 2015.
이근명, 「왕안석 신법의 시행과 臺諫官」, 『중앙사론』 40, 2014.
이근명, 「王夫之 <<宋論>>의 王安石 개혁에 대한 평가」, 『중국사연구』 91, 2014.
이근명, 「陸九淵 「荊國王文公祠堂記」의 譯註」, 『역사교육논집』 53, 2014.
이근명, 「王安石 新法의 시행과 黨爭의 발생」, 『역사문화연구』 46, 20183
이근명, 「<宋史筌>에 나타난 王安石과 王安石의 改革」, 『중앙사론』 36, 2012.
이근명, 「11세기 후반 송·베트남 사이의 전쟁과 외교 교섭」, 『동북아역사논총』 34, 2011.
이근명, 「근세 동아시아의 전쟁과 외교-서문」, 『동북아역사논총』 34, 2011.
이근명, 「전통시대 중국의 지식인들은 왜 왕안석에 반대하였는가?」, 『전북사학』 38, 2011.
이근명, 「북송의 명장 양업(楊業)과 양가장(楊家將) 설화」, 『사림』 38, 2011.
이근명, 「南宋初 范汝爲의 叛亂과 招安 問題」, 『중국사연구』 70, 2011.
이근명, 「왕안석의 집권과 신법의 시행」, 『역사문화연구』 35, 2010.
이근명, 「唐宋時代 중앙과 지방 사이 소통구조의 변화」, 『역사학보』 204, 2009.
이근명, 「新法 시행 이전의 王安石과 그 행적」, 『역사문화연구』 34, 2009.
이근명, 「지방관 역임 시기의 왕안석」, 『역사문화연구』 32, 2009.
이근명, 「宋遼金元史 연구의 회고와 전망」, 『역사학보』 199, 2008.
이근명, 「王安石, 司馬光 사이 往復 書簡의 譯註」, 『역사학연구』 33, 2008.
이근명, 「12世紀 南中國 地域社會의 動態와 ??」, 『역사문화연구』 22, 2005.
이근명, 「『宋名臣言行錄』의 編纂과 後世 流傳」, 『기록학연구』 11, 2005.
이근명, 「南宋時代 荒政의 運用과 地域社會 -淳熙 7年(1180) 南康軍의 기근을 中心으로-」, 『역사학연구』 23, 2004.
이근명, 「중국 황제의 여인들 - 후궁(後宮)과 후궁제도」, 『역사문화연구』 19, 2003.
  
♦ 저서
이근명, 『한국사 속의 다문화 : 청소년을 위한 다문화 대안 역사교과서』 (선인, 2016).
이근명, 『남송시대 복건 사회의 변화와 식량수급』 (신서원, 2013).
이근명, 『동북아 중세의 한족과 북방민족』 (동북아역사재단, 2010).
이근명 외, 『송원시대의 고려사자료.』 (신서원, 2010).
이근명 외, 『명청시대 사회경제사』 (이산, 2007).

♦역서
이근명, 『왕안석 자료 역주』 (Huine :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원, 2017).
이근명, 『송사 외국전 역주 3』 (동북아역사재단, 2013).
이근명, 『송사 외국전 역주 2』 (동북아역사재단, 2012).
이근명, 『宋史 外國傳 譯註』 (동북아역사재단, 2011).
 
♦편서
이근명, 『송명신언행록』 (소명출판사, 2019). 
이근명, 『(사료로 보는) 아시아사』 (위더북스, 2014).
· 공동연구원 차용구 교수
· Tel : 02-820-5138
· E-mail : ygcha@cau.ac.kr
· 소속 : 중앙대학교 역사학과
· 학력 : 독일 파사우대학(Universität Passau) 문학박사
· 전공 : 역사학(서양사, 독일중세사)
학술활동 및 주요연구실적
♦ 학술활동
2022.08 - : 서울신문 연재 [비아 히스토리아(via historia)]
2022.01 - :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 연재 [국경 이야기]
2021.08 - 2021.10 : 강원도민일보 웹진 DMZin 연재 [제국의 유산, 피흘리는 세계의 국경선]
2017.04 - :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교육·연구 소위원회(SCEaR-Memory of the World-UNESCO) 위원

♦ 연구분야
서양중세사, 국경연구

♦ 논문
차용구, 「13세기 후반 '독일인'의 주데텐란트 이주사 연구: 브로우모프(Broumov) 이주 특허장 분석」, 『서양중세사연구』 52, 2023.
차용구, 「헝가리 아르파드 왕조의 독일인 이주정책 연구 -13세기 전반기의 특허장을 중심으로-」, 『서양사론』 149, 2021.
Cha Yongku, "Clerical View of Gender in Twelfth-Century Flanders : The Voice of Lambert of Ardres", Parergon 37(1), 2020.
차용구, 고반석, 「근대 초 잉글랜드의 기후변화 대응 연구 - 1598년 구빈법과 연민 공동체」, 『중앙사론』 50, 2019.
차용구, 손주경, 「국경의 기억 : 나움부르크(Naumburg)의 우타(Uta) 立像」, 『서양중세사연구』 33, 2019.
차용구, 「국경(Grenze)에서 접경(Kontaktzone)으로-20세기 독일의 동부국경 연구」, 『중앙사론』 47, 2018.
차용구, 「탄넨베르크/그룬발트 전투(1410)-기억과 망각의 이중주」, 『사총』 92, 2017.

♦ 저서
차용구, 『중세 접경을 걷다: 경계를 넘나든 중세 사람들 이야기』 (산처럼, 2022).
차용구 외, 『팬데믹 시대에 경계를 바라보다』 (소명출판, 2022).
차용구, 『국경의 역사: 국경 경관론적 접근』 (소명출판, 2021).
Cha Yongku ed., The Borderlands of China and Korea: Historical Changes in the Contact Zones of East Asia (Lexington Books, 2020).
차용구 외, 『접경의 기억. 초국가적 기억의 장소를 찾아서』 (소명출판, 2020).
차용구 외, 『가해와 피해의 구분을 넘어: 독일 폴란드 역사 화해의 길』 (동북아역사재단, 2008).


 
· 공동연구원 장규식 교수
· Tel : 02-820-5140
· E-mail : chodam@cau.ac.kr
· 소속 : 중앙대학교 역사학과
· 학력 : 연세대학교 문학박사
· 전공 : 역사학(한국근현대사, 한국 근현대 지성사, 도시사, 민족운동사, 기독교사)
학술활동 및 주요연구실적
♦ 논문
장규식, 「리버사이드 한인 타운과 북미 한인사회의 형성」, 『역사문화연구』 (76), 역사문화연구소, 2020.
장규식, 「3・1운동 이전 민주공화제의 수용과 확산」, 『韓國史學史學報』 (38), 한국사학사학회, 2018.12
박상준, 장규식, 「일제하 천안지역의 사회운동과 유력자층 동향」, 『중앙사론』 (48), 중앙사학연구소, 2018.
장규식, 「민주화 이후 한국의 개신교와 시민사회」, 『한국기독교와 역사』 (48),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18.
장규식, 나연준, 「일제 식민지시기 이돈화의 저작과 천도교 교리 근대화 작업의 귀결」, 『한국학논총』 49, 한국학연구소, 2018.
장규식, 「1950~70년대 ‘사상계’ 지식인의 분단인식과 민족주의론의 궤적」, 『한국사연구』 (167), 한국사연구회, 2014.
장규식, 「초기 도미 이민자의 미국사회 자리잡기와 이중의 정체성-차의석의 이민 자서전을 중심으로-」, 『역사민속학』 (46), 한국역사민속학회, 2014.
장규식, 「대한인국민회 업랜드·클레몬트지방회 사례를 통해 본 1910년대 북미 한인사회의 내면」, 『한국근현대사연구』 (58), 한국근현대사학회, 2011.
장규식, 「미군정하 흥사단 계열 지식인의 냉전 인식과 국가건설 구상」, 『한국사상사학』 (38), 한국사상사학회, 2011.
장규식, 박현옥, 「제2차 조선교육령기 사립 중등학교의 정규학교 승격운동과 식민지 근대의 학교공간」, 『중앙사론』 (32), 중앙사학연구소, 2010.
장규식, 「20세기 전반 한국 사상계의 궤적과 민족주의 담론」, 『한국사연구』 (150), 한국사연구회, 2010.
장규식, 「『한국교회핍박』에 나타난 이승만의 정교 인식과 외교 독립론」, 『한국사상사학』 (35), 한국사상사학회, 2010.
장규식, 「한국 YMCA의 농촌재건사업 (“Rural Reconstruction Work in Korea”, 1935)」, 『중앙사론』 (29), 중앙사학연구소, 2009.
장규식, 「3ㆍ1운동과 세브란스」, 『연세의사학』 12(1), 의학사연구소, 2009.06
장규식, 「1920년대 개조론의 확산과 기독교사회주의의 수용·정착」, 『역사문제연구』 13(1), 역사문제연구소, 2009.
장규식, 「일제 식민지시기 연구의 현황과 추이」, 『역사학보』 (199), 역사학회, 2008.
장규식, 「1900~1920년대 북미 한인유학생사회와 도산 안창호」, 『한국근현대사연구』 (46), 한국근현대사학회, 2008.
장규식, 「1920~30년대 YMCA학생운동의 전개와 일상활동」, 『한국기독교와 역사』 (27),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07.
장규식, 「일제하 미국유학생의 서구 근대체험과 미국문명 인식」, 『한국사연구』 (133), 한국사연구회, 2006.
장규식, 「군사정권기 한국교회와 국가권력 : 정교유착과 과거사 청산 의제를 중심으로」, 『한국기독교와 역사』 (24),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06.
장규식, 「한국 도시사 연구의 새로운 지평― <<근대도시 목포의 역사.공간.문화>>(고석규,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 『역사와 현실』 (56), 한국역사연구회, 2005.
장규식, 「거대 도시 '서울공화국'의 명암」, 『역사비평』 (65), 역사문제연구소, 2003.
 
♦ 저서
장규식(공저), 『분단시대의 앎의 체제』 (혜안, 2016)
Kyusik Chang, Encountering Modernity, (Univ. of Hawaii Press, 2014)
장규식, 『1920년대 학생운동』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9)
장규식(조사단장), 『서울 독립운동 사적지』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8)
장규식(공저), 『새로운 한국사 길잡이 (하)』 (지식산업사, 2008)
장규식, 『민중과 함께 한 조선의 간디 : 조만식의 민족운동』 (역사공간, 2007)
장규식, 『서울 공간으로 본 역사』 (혜안, 2004)
장규식, 『일제하 한국기독교민족주의 연구』 (혜안, 2001)
 
· 공동연구원 이재환 교수
· Tel : 02-820-5090
· E-mail : jaehwanlee@cau.ac.kr
· 소속 : 중앙대학교 역사학과
· 학력 : 서울대학교 문학박사
· 전공 : 역사학(한국고대사)
학술활동 및 주요연구실적
♦ 학술활동
2021.11.05. ~ 11.06 : 접경인문학연구단·한국목간학회 국제공동학술대회 "접경과 변경, 그리고 문자생활" 발표(접경으로서의 충주 지역과 신판독안에 기반한 충주고구려비 내용 검토)
2020.01.16 - : 学習院大学東洋文化研究所 主催・学習院大学文学会 共催 東アジア若手研究者招聘講演会 강연(出土文字資料からみた新羅の社会)
2020.01.25 - : 일본 朝鮮史研究会関東部会 2020年1月例会 발표(韓国古代の多面木簡の使う方式について検討ー漢代木簡の編綴事例との比較を中心で)
2019.12.30 - : 동작구 평생학습관 특강, 접경으로 읽는 고대 한반도의 삶, 그리고 유적들(5강 “접경으로서의 바다, 그 속에 남은 흔적들”)
2019.12.23 - : 동작구 평생학습관 특강, 접경으로 읽는 고대 한반도의 삶, 그리고 유적들(4강 “우물과 연못에서 나온 유물을 통해 본 고대의 주술”)
2019.12.16 - : 동작구 평생학습관 특강, 접경으로 읽는 고대 한반도의 삶, 그리고 유적들(3강 “목간이 말해주는 고대 한반도의 삶”)
2019.12.12 - : 중앙대학교 역사학과 대학원·역사학과 주최 「저자조청 북토크, 투쟁의 장으로서의 고대사, 저자 이성시」 대담·사회
2019.09.06.~2019.09.08 : 중국(北京) 首届中日韓出土簡牘研究國際論壇暨第四届簡帛學的理論與實踐學術研討會 발표(韓國出土木簡的分類整理及標準化方案)

♦ 연구분야
신라사, 고대 한반도 출토문자자료, 고대 동아시아 생활사·문화사

♦ 논문  
이재환, 「고대 한반도의 목간문화 변용과 다면목간의 ‘편철’ -漢簡 사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중앙사론』 52, 중앙사학연구소, 2020.
이재환, 「고대 동아시아의 東宮과 신라 東宮」, 『한국고대사연구』 100, 한국고대사학회, 2020.
이재환, 「한국 출토 목간의 분류와 정리 및 표준화 방안」, 『木簡과 文字』 23, 한국목간학회, 2019.
이재환, 「‘통일신라’사 연구의 현황과 새로운 모색」, 『한국고대사연구』 95, 한국고대사학회, 2019.
이재환, 「함안 성산산성성 출토 문서목간과 力役 동원의 문서 행정」, 『木簡과 文字』 22, 한국목간학회, 2019.
이재환, 「7세기 중·후반 동북아시아의 전쟁을 어떻게 부를 것인가?」, 『역사비평』 126, 역사비평사, 2019.
이재환, 「新羅의 宦官 官府에 대한 試論 -洗宅(중사성)의 성격에 대한 재검토-」, 『木簡과 文字』 21, 한국목간학회, 2018.
이재환, 「『三國史記』의 전쟁 표현과 정당성 인식의 차이」, 『역사와 담론』 88, 호서사학회, 2018.
이재환, 「함안 성산산성 출토 신라 荷札의 성격에 대한 새로운 접근」, 『韓國史硏究』 182, 한국사연구회, 2018.
이재환, 「신라의 회의제와 상대등의 성격에 대한 재검토」, 『대구사학』 131, 대구사학회, 2018.
이재환, 「신라 동궁 출토 12면체 酒令 주사위의 명문해석과 그 의미」, 『동서인문학』 54,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이재환, 「신라의 ‘골품제’, 그간의 논의와 약간의 전망」, 『한국고대사연구』 87, 한국고대사학회, 2017.
이재환, 「新羅 眞骨의 ‘家系 分枝化’에 대한 재검토 –사위의 왕위계승권을 중심으로-」, 『대구사학』 127, 대구사학회, 2017.
이재환, 「「성주사 낭혜화상탑비」의 ‘得難’과 ‘五品’ 재검토」, 『木簡과 文字』 15, 한국목간학회, 2015.
이재환, 「扶餘 陵山里寺址 유적 출토 목간 및 삭설」, 『木簡과 文字』 12, 한국목간학회, 2014.
이재환, 「한국 고대 ‘呪術木簡’의 연구 동향과 展望」, 『木簡과 文字』 10, 한국목간학회, 2013.
이재환, 「傳仁容寺址 출토 ‘龍王’ 목간과 우물·연못에서의 제사의식」, 『木簡과 文字』 7, 한국목간학회, 2011.
이재환, 「新羅 中·下代 官等制의 성격 변화 - 人名·官等의 표기 방식을 중심으로 -」, 『韓國史論』 56,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2010.

♦ 저서
이재환 외, 『한국고대사를 바라보는 다양한 시선』 (진인진, 2020).
이재환 외, 『문자와 고대 한국 1 기록과 지배』 (주류성, 2019).
이재환 외, 『문자와 고대 한국 2 교류와 생활』 (주류성, 2019).
이재환 외, 『響き合う東アジア史』 (東京大学出版会, 2019).
이재환 외, 『신라의 통치제도(신라 천년의 역사와 문화 연구총서 08)』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2016).
이재환 외, 『한국고대 문자자료연구 : 백제(상) -지역별-』 (주류성, 2015).
이재환 외, 『한국 고대사 연구의 시각과 방법』 (사계절, 2014).
· 공동연구원 백승욱 교수
· Tel : 02-820-5733
· E-mail : swbaek@cau.ac.kr
· 소속 : 중앙대학교 사회학과
· 학력 : 서울대학교
· 전공 : 사회학
학술활동 및 주요연구실적
♦ 논문
백승욱, 「되돌아보는 1991년 ‘87정세의 자유주의적 포섭 시도’와 잊힌 퇴조의 출발점」, 『경제와 사회』 (130), 비판사회학회, 2021.
강석남 ;백승욱, 「기업식 대학 구조조정 추진의 균열과 대학 구성원의 저항: A사립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기억과 전망』 (44), 한국민주주의연구소, 2021.
백승욱 ;김영아, 「마르크스의 셰익스피어: 비-헤겔적 전환의 계기」, 『마르크스주의 연구』 18(2), 사회과학연구원, 2021.
백승욱, 「미국헤게모니 형성기 동아시아 국가간체계 질서의 변동: 월러스틴의 이론 자원으로 검토한 냉전 형성 과정과 중국 변수」, 『아시아리뷰』 10(2), 아시아연구소, 2020.
백승욱, 「투쟁을 해야 할 때 제대로 투쟁하는 노동자 조직을 세우기 위하여: 계급적 관점에 선 민주노총 역사에 대한 비판」, 『마르크스주의 연구』 17(3), 사회과학연구원, 2020.
백승욱, 「지금 다시 마르크스주의의 근본 질문을 재개해야 할 이유: 알튀세르와 발리바르의 프롤레타리아 독재론과 사회주의라는 질문」, 『마르크스주의 연구』 17(2), 사회과학연구원, 2020.
백승욱 ;羅斯琦, 「사회관리 강화를 위한 중국 노동조합의 개혁: 포산(佛山)시 스산(獅山)진 S조직의 사례를 중심으로」, 『현대중국연구』 21(4), 현대중국학회, 2020.
백승욱, 「머리는 무겁고 다리는 가벼운 중국 노동조합은바뀔 수 있는가:직업화 간부 중심의 선전시 노동조합 개혁」, 『중소연구』 43(4), 아태지역연구센터, 2020.
백승욱, 「사상사 부재의 한국 현실에 대한 성찰의 요구」, 『경제와 사회』 (123), 비판사회학회, 2019.09
백승욱, 「마르크스에게서 재생산 개념의 형성과 체계의 사고」, 『마르크스주의 연구』 16(2), 사회과학연구원, 2019.
백승욱, 「동아시아 단절의 담론구성체 형성의 맥락에서 살펴본 3.1운동의 사상사적 전환의 공백」,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121), 한국사회사학회, 2019.
백승욱, 「시간을 둘러싼 투쟁은 마르크스 이해와 자본주의 이해의 핵심」, 『마르크스주의 연구』 15(3), 사회과학연구원, 2018.
백승욱, 「알튀세르에서 시작한 마르크스 재독해의 지속성을 위하여 서관모 선생의 서평에 답함」, 『경제와 사회』 (116), 비판사회학회, 2017.
백승욱, 「장기 20세기와 사회주의 역사적 경험의 회고 러시아혁명과 중국혁명을 중심으로」, 『경제와 사회』 (116), 비판사회학회, 2017.
백승욱, 「자본주의의 역사 ・ 제도적 조건과 자본주의적 소유라는 질문」, 『마르크스주의 연구』 14(4), 사회과학연구원, 2017.
백승욱 ;김판수 ;정규식, 「중국 동북지역 사회관리 정책에서 나타나는 당⋅정 주도성」, 『현대중국연구』 19(2), 현대중국학회, 2017.
백승욱, 「보수주의화하는 중국 사상계에 대한 역사적 분석 조경란, 『국가, 유학, 지식인: 현대 중국의 보수주의와 민족주의』(책세상, 2016)」, 『중국근현대사연구』 (74), 중국근현대사학회, 2017.
장영석 ;백승욱, 「노동자 집단적 저항의 일상화와 중국의 노동정책 변화: 광둥성을 중심으로」, 『산업노동연구』 23(2), 한국산업노동학회, 2017.
고점우 ;백승욱, 「시진핑(習近平) 시대의 인터넷 정책: 네트워크 사회관리로 전환」, 『현대중국연구』 19(1), 현대중국학회, 2017.
백승욱 외 2인, 「‘사회’로 확장되는 중국 공회(노동조합): 광둥성 공회의 체제 개혁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51(1), 한국사회학회, 2017.
羅斯琦 ;백승욱, 「‘사회치리’(社會治理)로 방향전환을 모색하는 광둥성의 사회관리 정책」, 『현대중국연구』 17(2), 현대중국학회, 2016.
정태석 ;백승욱 외 4인, 「집담회 - 비판사회학회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 『경제와 사회』 (108), 비판사회학회, 2015.
백승욱, 「혁명의 비극 속에서 ‘민주’를 남기는 방법: 『민주수업』」, 『안과밖:영미문학연구』 (39), 영미문학연구회, 2015.
백승욱, 「마르크스와 사회적인 것: 사회적인 것의 기원 밖에 놓인 사회적인 것의 자리」, 『한국사회학』 49(5), 한국사회학회, 2015.
백승욱 ;이지원, 「1960년대 발전 담론과 사회개발 정책의 형성」,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107), 한국사회사학회, 2015.
백승욱 외 3인, 「시진핑 시대 중국 사회건설과 사회관리」, 『현대중국연구』 17(1), 현대중국학회, 2015.
백승욱, 「‘해석의 싸움’의 공간으로서 리영희의 베트남전쟁: 『조선일보』 활동시기(1965~1967)를 중심으로」, 『역사문제연구』 18(2), 역사문제연구소, 2014.
백승욱, 「EU의 경제위기 대응과 신자유주의적 통합의 심화」, 『마르크스주의 연구』 10(4), 사회과학연구원, 2013.
백승욱, 「세계경제위기와 ‘노동계약법’의 결합효과로서 중국 파견노동의 증가」, 『산업노동연구』 19(1), 한국산업노동학회, 2013.
백승욱, 「한국 1960~1970년대 사유의 돌파구로서의 중국 문화대혁명 이해 –리영희를 중심으로-」, 『사이間SAI』 (14),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3.
백승욱, 「위기 속에서 되살아나는 맑스주의의 현재성: 에릭 홉스봄 지음, 이경일 옮김 『세상을 어떻게 바꿀 것인가: 마르크스와 마르크스주의에 관한 이야기들』(까치 2012)」, 『안과밖:영미문학연구』 (34), 영미문학연구회, 2013.
이지원 ;백승욱, 「한국에서 생명보험의 신자유주의적 전환」, 『한국사회학』 46(2), 한국사회학회, 2012.
백승욱, 「다시, 마르크스를 위하여 - 에띠엔 발리바르와 정치의 개조」, 『안과밖:영미문학연구』 (30), 영미문학연구회, 2011.
백승욱, 「천보다(陳伯達)를 통해 본 중앙문혁소조의 문화대혁명」, 『현대중국연구』 12(1), 현대중국학회, 2010.
백승욱, 「역사적 맥락에서 본 신자유주의의 위기 : 1930년대와 현 시기 경제위기에 대한 뒤메닐·레비의 비교를 중심으로」, 『경제와 사회』 (30), 비판사회학회, 2009.
백승욱, 「중국에서 ‘사회주의적 민주’ 논쟁을 통해서 본 아래로부터 비판적 사상 형성의 굴곡」, 『마르크스주의 연구』 6(3), 사회과학연구원, 2009.
백승욱, 「마르크스주의와 국제주의, 그리고 노동자운동」, 『마르크스주의 연구』 5(3), 사회과학연구원, 2008.
백승욱, 「조경란 『현대 중국 사상과 동아시아 ― 보편공동체를 위하여―』 태학사, 2008」, 『철학』 (96), 한국철학회, 2008.
백승욱, 「중국 외환보유고 증가를 통해 본 중국 금융적 변신의 현황」, 『동향과 전망』 (76), 한국사회과학연구회, 2008.
백승욱, 「현 시기 평가에 작용하는 중국 노동자의 문화대혁명의 기억」, 『경제와 사회』 (76), 비판사회학회, 2007.
백승욱, 「후진타오 시대 중국 노동관계의 변화- 노동계약법 도입 과정을 중심으로」, 『현대중국연구』 9(1), 현대중국학회, 2007.
백승욱, 「(서평)마르크스를 위한, 마르크스를 통한 논쟁을 위하여」, 『경제와 사회』 (74), 비판사회학회, 2007.
안치영 ;백승욱 외 2인, 「중국 대도시에서의 국가-사회관계의 역동성과 다양성」, 『동향과 전망』 (68), 한국사회과학연구회, 2006.
백승욱, 「서비스 산업의 성장과 20세기 세계자본주의」, 『동향과 전망』 (68), 한국사회과학연구회, 2006.
백승욱, 「서평_화폐의 사중주, 그 불협화음의 현재적 함의는?_화폐, 마법의 사중주」, 『경제와 사회』 (69), 비판사회학회, 2006.
백승욱, 「동아시아 금융위기 이후 일본의 대 중국투자와 무역추세의 변화」, 『국제.지역연구』 14(2), 국제학연구소, 2005.
 
 저서
백승욱(공저), 『중국공산당 100년의 변천, 1921-2021: 혁명에서 `신시대`로』 (책과함께, 2021)
백승욱(공저), 『리영희를 함께 읽다』 (창비, 2017)
백승욱, 『생각하는 마르크스: 무엇이 아니라 어떻게』 (북콤마, 2017)
백승욱, 『중국문화대혁명과 정치의 아포리아: 중앙문혁소조장 천보다와 조반의 시대』 (그린비, 2012)
백승욱, 『세계화의 경계에 선 중국』 (창비, 2008)
백승욱, 『중국 노동자의 기억의 정치 -- 문화대혁명 시기의 기억을 중심으로』 (폴리테이아, 2007)
백승욱, 『문화대혁명 -- 중국 현대사의 트라우마』 (살림, 2007)
백승욱, 『자본주의 역사강의: 세계체계 분석으로 본 자본주의의 기원과 미래』 (그린비, 2006)
백승욱(공저), 『현대도시 상하이의 발전과 상하이인의 삶』 (한신대학교 출판부, 2006)
백승욱, 『미국의 세기는 끝났는가?: 세계체계 분석으로 본 미국 헤게모니의 역사』 (그린비, 2005)

 
 
· 공동연구원 손병권 교수
· Tel : 02-820-5474
· E-mail : byoungk@chol.com
· 소속 : 중앙대학교 정치국제학과
· 학력 : 미국 미시간대학(Univ. of Michigan) 정치학박사
· 전공 : 지역연구
학술활동 및 주요연구실적
♦ 학술활동
2019.01. - 2020.08. : Frederick Jackson Turner의 The Frontier in American History를 『미국사와 변경』이라는 제목으로 국어 번역

♦ 연구분야
미국정치, 미국정치사, 미국외교정책, 선거.정당.의회정치

♦ 논문
손병권, 「위상의 정치에서 본 백인 복음주의 개신교도의 트럼프 지지」, 『미국학 논집』 52(3), 2020. 
손병권 외, 「세대갈등의 원인 분석: 세대계층론을 중심으로 본 20대와 70대의 갈등 원인」, 『분쟁해결연구』 17(3), 2019. 
손병권, 「미국 국내정치의 상황에서 본 트럼프 대통령의 리더십 유형에 대한 소고」, 『국제정치논총』 59(1), 2019. 
손병권, 「민주당 대의원제도 개혁사에서 본 2018년 수퍼대의원 제도의 개혁: 2016년∼2018년 개혁의 내용, 원인, 그리고 함의」, 『현대정치연구』 11(3), 2018. 
손병권, 「한국 복지제도 지지의 세대별 차이: 불안감과 복지제도 평가」, 『분쟁해결연구』 16(2), 2018. 
손병권 외, 「집단정체성으로서의 세대와 그 정치적 효과」, 『한국정당학회보』 17(2), 2018. 
손병권 외, 「트럼프 시대 미국 민족주의 등장의 이해: 국가정체성, 민중주의, 권위주의를 중심으로」, 『미국학 논집』 49(3), 2017. 
손병권, 「『연방주의자 논고』에 나타난 내셔널리즘의 해석: 연방적 정체성을 위한 국민주의」, 『미국학』 40(1), 2017. 
손병권 외, “Causes of Distrust and Conflict in the ROK-US Alliance: With a Focus on the Roh Moohyun Era”, 분쟁해결연구 14(2), 2016. 
손병권, 「정부조직법 개편의 비교를 통해서 본 축적부재의 한국 대통령제」, 『국제, 지역연구』 24(4), 2015. 
손병권, 「정당후보 선발에 관한 주정부 규제의 변천과정: 19세기 후반 이후 직접 예비선거 도입까지의 시기를 중심으로」, 『한국정당학회보』 14(2), 2015. 
손병권, 「한국 선거정치에 있어서 실질적 기회균등을 위한 제도개선 방안: 현직의원과 도전자의 형평성 및 선거공영제를 중심으로」, 『미래정치연구』 5(1), 2015. 
손병권, 「제19대 국회 전반기 평가:국회, 대통령, 여야 정당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의정연구』 20(3), 2014. 
손병권, 「티파티 운동과 공화당 보수주의의 재형성」, 『의정연구』 19(1), 2013. 
손병권, 「미국 정치학에서 국가 개념의 위상과 역할 - 다원주의 이전 미국 정치학의 실천적 성격을 중심으로」, 『담론201』 16(1), 2013. 
손병권, 「미국 의료보험 개혁법안의 최종 통과과정: 하원의 자동실행규칙의 폐기와 오바마 행정명령의 선택」, 『의정연구』 18(3), 2012.
손병권, 「미국정치의 집단적 사회운동으로서 티파티 운동 참여자의 성격과 구성」, 『세계지역연구논총』 30(3), 2012. 
손병권, 「자율적 의회의 조건: 미국의회의 경우」, 『미래정치연구』 1(1), 2011. 
손병권, 「부시 행정부의 이라크 증파결정:부시대통령의 신념과 관료정치를 중심으로」, 『분쟁해결연구』 8(3), 2010. 
손병권, 「전쟁과 미국국가 건설: 전시산업위원회의 사례를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 19(4), 2010. 
손병권, 「국회 인사청문회의 정치적 의미, 기능 및 문제점」, 『의정연구』 16(1), 2010. 
손병권 외, 「한국 민주주의의 현황 정의와 민주주의 심화의 문제」, 『분쟁해결연구』 8(1), 2010. 
손병권, 「부시 공화당 단점정부 하에서 대통령-의회 관계의 양상과 성격」, 『세계지역연구논총』 27(3), 2009. 
손병권, 「전쟁과 미국국가 건설: 전시산업위원회의 사례를 중심으로」, 『국제, 지역연구』 19(4), 2010. 
손병권, 「국회 인사청문회의 정치적 의미, 기능 및 문제점」, 『의정연구』 16(1), 2010. 
손병권 외, 「한국 민주주의의 현황 정의와 민주주의 심화의 문제」, 『분쟁해결연구』 8(1), 2010. 
손병권, 「부시 공화당 단점정부 하에서 대통령-의회 관계의 양상과 성격」, 『세계지역연구논총』 27(3), 2009. 
손병권, 「『비전통적인 입법: 미국의회의 새로운 입법과정』」, 『의정연구』 15(2), 2009. 
손병권, 「부시 행정부의 대북정책 : 북미 양자대화로의 전환」, 『국방연구』 52(1), 2009. 
손병권, 「대통령 선거의 정당후보 선발제도: 미국, 대만, 멕시코의 예비선거 도입과정과 비교」, 『한국정당학회보』 8(1), 2009. 
손병권, “The Slavery Issue and the Rise of the Republican Party in the U.S.”, 세계지역연구논총 26(2), 2008. 
손병권 외, 「국무총리 인사청문회에 나타난 행정부-국회 관계 분석:회의록에 대한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42(2), 2008. 
손병권 외, 「회의록 분석을 통해서 본 국회 상임위원회 운영의 특징」, 『21세기정치학회보』 18(1), 2008. 
손병권 외, 「갈등의 현실과 합의에 대한 소망: 국회 운영 및 의사결정 방식에 대한 17대 국회의원들의 인식」, 『한국정치연구』 17(1), 2008. 
손병권 외, 「2007년 미국 이민법 개정 논쟁: 과정과 함의 그리고 미국의 다원주의」, 『미국학 논집』 39(3), 2007. 
손병권, 「중국의 부상에 대한 미국의 대응」, 『세계지역연구논총』 25(1), 2007. 
손병권, 「부시(George W. Bush) 대통령의 정당편향적 의회전략: 유권자 성향과 개인적 리더쉽 스타일을 중심으로」, 『한국과 국제정치』 23(1), 2007. 
손병권, 「미국의회 여성후보자들의 선거운동, 정치적 경력, 남성지배 현직이익에 따른 불이익: 편견과 진실」, 『미국학 논집』 38(2), 2006. 
손병권, “The Failure of Redistributive Policy in the Progressive Era Urban Politics”, 세계지역연구논총 24(2), 2006. 
손병권 외, 「미국과 캐나다의 연방제도 비교 연구: 건국과정과 헌법을 중심으로」, 『국제정치논총』 44(4), 2004. 
손병권, 「17대 초선의원들의 의정활동 평가」, 『의정연구』 10(2), 2004. 
손병권, 「‘연방주의자 논고’에 나타난 매디슨의 새로운 미국 국가: 광대한 공화국」, 『국제,지역연구』 13(4), 2004. 
손병권, 「미국의 국가: 국가성(Stateness)의 문제와 국가성의 충족체로서 혁신주의 국가」, 『미국학 논집』 36(2), 2004. 
손병권, 「직접 예비선거제도의 기원: 위스컨신주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37(3), 2003. 
손병권, 「2002년 미국 하원 중간선거와 공화당의 승리: 공화당의 승리에 대한 선거구 재조정의 영향을 중심으로」, 『국제정치논총』 43(3), 2003.
 
♦ 저서
손병권, 『냉전기 한국 사회과학 개념사』 (대한민국역사 박물관, 2018). 
손병권, 『미국 의회정치는 여전히 민주주의의 전형인가?: 정당정치에 포획된 미국의회』 (도서출판 오름, 2018). 
손병권, 『한국형 발전국가의 국가이념과 정치제도』 (인간사랑, 2018). 
손병권, 『대한민국 국회제도의 형성과 변화』 (푸른길, 2018).
손병권 외, 『The Korean Government and Public Policies in a Development Nexus』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17).
손병권, 『정당이 살아야 민주주의가 산다』 (푸른길, 2015). 
손병권, 『통일한국의 정치제도』 (늘봄 플러스, 2015). 
손병권, 『1972 한반도와 주변4강』 (EAI, 2015). 
손병권, 『미중경쟁속의 동아시아와 한반도』 (늘봄 플러스 2015). 
손병권, 『Improving Electoral Process: Case Studies and Practical Approaches』 (Community of Democracies, 2014). 
손병권, 『새로운 행정부의 대내외 과제와 전망』 (푸른길, 2015). 
손병권, 『기후변화 대처와 미국패권의 딜레마』 (서강대학교 출판부, 2012). 
손병권, 『한국의 민주주의: 공고화를 넘어서 심화로』 (도서출판 오름, 2012). 
손병권, 『미국이 선거와 또 다른 변화: 2010년 중간선거』 (도서출판 오름, 2011). 
손병권, 『안전보장의 국제정치학』 (사회평론, 2010). 
손병권, 『한국국회와 정치과정』 (도서출판 오름, 2010). 
손병권, 『18대 총선 현장 리포트』 (한국정당학회, 2009). 
손병권, 『한국국회와 정치과정』 (도서출판 오름, 2010). 
손병권, 『오바마 정부와 한반도』 (통일연구원, 2008). 
손병권 외, 『협상의 이해』 (박영사, 2008). 
손병권, 『부시 재집권과 미국의 분열』 (도서출판 오름, 2005). 
손병권, 『네오콘 프로젝트: 미국 신보수주의의 이념과 실천』 (사회평론, 2005). 
손병권, 『한국 의회정치와 제도개혁』 (한울아카데미, 2004). 
손병권, 『세계 지역의 정치』 (을유문화사, 2003).
 
♦ 역서
손병권, 『미국사와 변경』 (소명출판사, 2020). 
 
♦ 편서
손병권, 『국회 열어보기: 한국 국회의 제도와 행태』 (도서출판 오름, 2020). 
손병권, 『Political Change in Korea』 (Jimoondang, 2008). 
손병권, 『정치학 이해의 길잡이 정치과정』 (법문사, 2008). 
손병권, 『미국정치의 분열과 통합』 (도서출판 오름, 2008).
 
· 공동연구원 여호규 교수
· Tel : .
· E-mail : hgyeo1123@hufs.ac.kr
· 소속 : 한국외국어대학교 사학과
· 학력 : 서울대학교 문학박사
· 전공 : 한국고대사(정치사, 대외관계사, 도시사 )
학술활동 및 주요연구실적
♦ 논문
여호규, 「한국사 연구의 신경향과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제언」, 『역사학보』 251, 2021. 
여호규, 「고구려의 ‘남평양(南平壤)’ 건설과 운영」, 『역사문화연구』 79, 2021. 
여호규, 「신라 上古期의 도성 구조와 金城․月城의 성격」, 『신라문화』 58, 2021. 
여호규, 「고구려의 韓半島 中部地域 지배와 漢城 別都의 건설」, 『한국고대사연구』 99, 2020. 
여호규, 「충주고구려비의 단락구성과 건립시기」, 『한국고대사연구』 98, 2020. 
여호규, 「高句麗와 漢의 接境空間 변화에 따른 住民集團의 잡거」, 『역사문화연구』 74, 2020. 
여호규, 「7세기 만주·한반도 전쟁과 지정학 구도의 재편」, 『역사비평』 131, 2020. 
여호규, 「高句麗 國內城期의 도성 경관과 토지 이용」, 『고구려발해연구』 65, 2020. 
여호규, 「삼국통일 전후 신라 도성의 공간 구조 변화」, 『역사비평』 128, 2019. 
여호규, 「신라 중성리비의 서사구조와 6부인의 지배이념」, 『한국고대사연구』 93, 2019. 
여호규, 「신라 냉수리비와 봉평리비의 단락구성과 서사구조」, 『역사문화연구』 69, 2019. 
여호규, 「7세기 중엽 국제정세 변동과 고구려 대외관계의 추이」, 『대구사학』 133, 2018. 
여호규, 「7-8세기 신라의 時報制 시행과 都城民의 시간생활」, 『대구사학』 132, 2018. 
여호규, 「5세기 후반 高句麗· 勿吉의 충돌과 북방 接境空間의 변화」, 『중앙사론』 47, 2018. 
여호규, 「삼국형성기 문헌사와 고고학의 접점」, 『한국삼고사학보』 100, 2018. 
여호규, 「백제 熊津 都城의 왕궁 위치와 조영과정」, 『이화사학연구』 55, 2021. 
여호규, 「고구려와 중국왕조의 만주지역에 대한 공간인식」, 『한국고대사연구』 88, 2017. 
여호규, 「遺民墓誌銘을 통해본 唐의 東方政策과 高句麗 遺民의 동향」, 『동양학』 69, 2017. 
여호규, 「高句麗 遺民 <李他仁墓誌銘>의 재판독 및 주요 쟁점 검토」, 『한국고대사연구』 85, 2017. 
여호규, 「두만강 유역 고구려 성곽의 분포현황과 지방통치의 양상」, 『역사문화연구』 61, 2017. 
여호규, 「韓・中・日 3國 學界의 <集安高句麗碑> 硏究動向과 課題」, 『동방학지』 177, 2016. 
여호규, 「新發見 <高乙德墓誌銘>을 통해 본 高句麗 末期의 中裏制와 中央官制」, 『백제문화』 54, 2016. 
여호규, 「集安高句麗碑와 광개토왕릉비 序頭의 단락구성과 서술내용 비교」, 『신라문화』 45, 2015. 
여호규, 「2세기 전반 高句麗와 後漢의 관계 변화」, 『동양학』 58, 2015. 
여호규, 「6~8세기 신라 왕궁의 구조와 정무·의례 공간의 분화」, 『역사와 현실』 94, 2014. 
여호규, 「高句麗 國內 都城의 구성요소와 수공업 생산체계- 기와 생산체계를 중심으로 -」, 『역사문화연구』 52, 2014. 
여호규, 「廣開土王陵碑의 문장구성과 서사구조」, 『영남학』 25, 2014. 
여호규, 「고구려 도성의 의례공간과 왕권의 위상」, 『한국고대사연구』 71, 2013. 
여호규, 「신발견 <集安高句麗碑>의 구성과 내용 고찰」, 『한국고대사연구』 70, 2013. 
여호규, 「5세기 후반~6세기 중엽 高句麗와 百濟의 국경 변천」, 『백제문화』 1(48), 2013. 
여호규, 「4세기-5세기 초 高句麗와 慕容‘燕’의영역확장과 지배방식 비교」, 『한국고대사연구』 67, 2012. 
여호규, 「4세기 후반~5세기 초엽 고구려(高句麗)와 백제(百濟)의 국경 변천」, 『역사와 현실』 84, 2012. 
여호규, 「고구려 國內城 지역의 건물유적과 都城의 공간구조」, 『한국고대사연구』 66, 2012. 
여호규, 「2009~2010년 한국고대사 연구동향: 잇따른 신자료 출현과 새로운 한국고대사상의 모색」, 『역사학보』 211, 2011. 
여호규, 「高句麗 초기 積石墓의 기원과 築造集團의 계통」, 『역사문화연구』 39, 2011. 
여호규, 「高句麗의 種族 起源에 대한 일고찰 ― 夫餘別種說과 貊族說의 정합적 이해를 중심으로 ―」, 『사림』 38, 2011. 
여호규, 「高句麗 初期의 王位繼承原理와 古鄒加」, 『동방학지』 150, 2010. 
여호규, 「1990년대 이후 고구려 문자자료의 출토현황과 연구동향」, 『한국고대사연구』 57, 2010. 
여호규, 「서양학계의 한국고대사 인식체계의 변화 -동양학계와의 영향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사연구』 148, 2010. 
여호규, 「高句麗의 太王號 제정과 國岡型 왕릉입지의 성립」, 『역사문화연구』 35, 2010.
여호규, 「4세기 高句麗의 樂浪․帶方 경영과 中國系 亡命人의 정체성 인식」, 『한국고대사연구』 53, 2009. 
여호규, 「<廣開土王陵碑>에 나타난 高句麗 天下의 공간범위와 주변 族屬에 대한 인식」, 『역사문화연구』 32, 2009. 
여호규, 「鴨綠江 중상류 연안의 高句麗 성곽과 東海路」, 『역사문화연구』 29, 2008. 
여호규, 「3세기 전반 동아시아 국제정세와 고구려의 대외정책」, 『역사학보』 194, 2007. 
여호규, 「고구려 초기 對中戰爭의 전개과정과 그 성격」, 『동북아역사논총』 15, 2007.
여호규, 「총론:6~8세기 동아시아 국제관계사 연구의 진전을 기대하며」, 『역사와 현실』 61, 2006. 
여호규, 「책봉호 수수(授受)를 통해 본 수·당의 동방정책과 삼국의 대응」, 『역사와 현실』 61, 2006. 
여호규, 「高句麗 國內 遷都의 시기와 배경」, 『한국고대사연구』 38, 2005. 
여호규, 「高句麗의 國家形成과 漢의 對外政策」, 『군사』 54, 2005. 
여호규, 「한.중 역사인식의 접점- 고구려사를 어떻게 볼 것인가를 기획하며 -」, 『역사와 현실』 55, 2005. 
여호규, 「<광개토왕릉비>에 나타난 고구려의 대중인식(對中認識)과 대외정책」, 『역사와 현실』 55, 2005. 
여호규, “International Situation in East Asia and Changes in Goguryeo’s Foreign Policy”,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7(4), 2004. 
여호규, 「치밀한 논리로 고구려 정치사의 난제를 부드럽게 녹여낸 역저 -<<고구려 정치사 연구>>(임기환, 한나래, 2004)-」, 『역사와 현실』 54, 2004. 
여호규, 「4세기 동북아 국제정세와 고구려 고국원왕의 생애」, 『역사문화연구』 20, 2004. 
여호규, 「중국학계의 고구려 대외관계사 연구현황」, 『한국고대사연구』 31, 2003. 
여호규, 「遼河 中上流 東岸地域의 高句麗 城과 地方支配」, 『역사문화연구』 17, 2002. 
여호규, 「6세기말~7세기초 동아시아 국제질서와 고구려 대외정책의 변화 -대수관계(對隋關係)를 중심으로-」, 『역사와 현실』 46, 2002. 
여호규, 「漢城時期 百濟의 都城制와 防禦體系」, 『백제연구』 36, 2002. 
여호규, 「고구려 초기의 梁貊과 小水貊」, 『한국고대사연구』 25, 2002. 
여호규, 「新羅 都城의 空間構成과 王京制의 성립과정」, 『서울학연구』 18, 2002.
 
♦ 저서 
여호규, 『백제, 한성에서 웅진으로』 (한성백제박물관, 2017). 
여호규, 『The History and Archaeology of the Koguryo Kingdom』 (Korea Institute, Harvard University, 2016). 
여호규, 『근초고왕과 석촌동고분군』 (한성백제박물관, 2016). 
여호규 외, 『한국 고대사. 1-2』 (푸른역사, 2016). 
여호규 외, 『신라의 삼국통일』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2016). 
여호규 외, 『광개토왕비의 탐색』 (동북아역사재단, 2015). 
여호규 외, 『삼국시대 국가의 성장과 물질문화. 1-2』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5). 
여호규 외, 『신발견 한국고대문자자료집성』 (주류성, 2015). 
여호규, 『백제의 성장과 중국』 (한성백제박물관, 2015). 
여호규, 『고구려 초기 정치사 연구』 (신서원, 2014). 
여호규, 『삼국시대 고고학개론.』 (진인진, 2014). 
여호규, 『한성백제의 왕궁은 어디에 있었나』 (한성백제박물관, 2014). 
여호규, 『한국 고대사 연구의 시각과 방법』 (사계절, 2014). 
여호규, 『백제 도성제와 주변국 도성제의 비교연구』 (백제역사지구 세계유산등재추진단, 2013).
여호규 외, 『삼국지 동이전의 세계』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3). 
여호규, 『한국군사사 14(성곽)』 (육군본부, 2012). 
여호규, 『고대 동아시아의 문자교류와 소통』 (동북아역사재단, 2011). 
여호규, 『타자 인식과 상호 소통의 역사』 (신서원, 2011). 
여호규 외, 『동아시아의 고분문화』 (서경문화사, 2011). 
여호규 외, 『중국 '동북공정' 고구려사 연구논저 분석』 (동북아역사재단, 2010). 
여호규, 『고구려 유적의 어제와 오늘.』 (동북아역사재단, 2009).
· 공동연구원 노명환 교수
· Tel : 031-330-4318
· E-mail : mhnoh@hufs.ac.kr
· 소속 : 한국외국어대학교 사학과
· 학력 : 독일 두이스부르크-에센대학교(University of Duisburg-Essen) 철학박사
· 전공 : 역사학(서양현대사)
학술활동 및 주요연구실적
♦ 논문
노명환, 「디지털 아카이브와 큐레이션에 기초한 디지털 역사학, 공공역사, 트랜스내셔널 역사: 다양성 속의 통일 원리에 기초한 세계의 평화·상생을 향하여」, 『역사문화연구』 (79), 2021.
노명환, 「역사의 관점에서 보는 김대중의 대중경제론과 햇볕정책: 모델로서 서독의 사회시장경제제도와 동방정책」, 『역사학연구』 81, 2021.
노명환, 「4차 산업혁명 시대 데이터 아카이브와 기록관리의 길 - 국가기록원의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기록관리 실행방안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중·장기 차원의 제안 -」, 『기록과정보, 문화연구』 11, 2020.
노명환, 「김대중 화해 사상의 특수성과 보편성: 이분법의 극복과 ‘다양성 속의 통일’의 변증법」, 『통일과 평화』 12(2), 2020.
노명환, 「김대중과 빌리 브란트의 ‘다양성 속의 통일’ 사상과 남한과 서독의 정치·사회·문화적 토양」, 『역사문화연구』 75, 2020.
노명환, 「베를린 장벽 설치에 대한 빌리 브란트의 반응과 동방정책 구상」, 『역사문화연구』 77, 2020.
노명환, 「빌리 브란트와 에곤 바르의 투칭 연설의 시대적 배경과 동방정책의 사상 및 실천 전략」, 『역사문화연구』 71, 2019.
노명환, 「서신 왕래를 통해 본 빌리 브란트와 김대중의 관계 1973-1992」, 『역사문화연구』 40, 2019.
노명환, 「‘성리학적 구성주의’ 관점과 복잡계 이론으로 본 빌리 브란트와 김대중의 평화 사상 및 정책과 제4차 산업혁명의 원리」, 『역사문화연구』 67, 2018.
노명환, 「‘독일 제4차 산업혁명의 역사적 배경과 의미: ‘독일모델’의 정립 및 위기 극복과 ‘다양성 속의 통일’ 사회의 동력」, 『역사문화연구』 65, 2018.
노명환, 「빌리 브란트의 ‘다양성 속의 통일’ 원리 및 ‘공동의 안보’ 개념과 동방정책에 대한‘성리학적 구성주의’ 시각의 조명」, 『역사문화연구』 65, 2017.
노명환, 「‘개념적 구성물로서의 기록’의 관점에서 보는조선시대 성리학 세계관과 기록·기록관리」, 『기록학연구』 51, 2017.
노명환, 「기호학 및 ‘성리학적 구성주의’ 이론을 적용한 기록과 기록관리 행위의 본질과 사회적 역할의 이해: 레코드 컨티뉴엄의 보완에 초점을 맞추어」, 『역사문화연구』 (57), 2016.
노명환, 「빌리 브란트의 망명시기 유럽연방주의 사상과 구성주의 시각」, 『역사문화연구』 53, 2015.
노명환, “Eine kritische Betrachtung über S. Huntington’s These: “Zivilisationskollision” aus der Sicht von Sunglihak. Fokussiert auf die Frage der Geschichtsanschauung und der Identitä“, 역사문화연구 (49), 2014.
노명환, 「국정통치기록의 이관에 관한 국제비교 미국, 독일, 프랑스의 비교를 중심으로」, 『역사문화연구』 48, 2013.
노명환, 「분단국의 민주주의와 통일정책의 상호관계 : 구성주의 이론과 하버마스의 공론장 개념을 적용한 빌리 브란트와 김대중의 민주주의 이념과 정책, 분단극복 방안에 대한 비교를 중심으로」, 『역사문화연구』 49, 2013.
노명환, 「기호학과 구성주의 시각을 통해 본 베를린과 빌리 브란트의 상호구성 ― ‘베를린 장벽의 기호’와 동방정책 및 유럽통합정책의 구성과정을 중심으로 ―」, 『사림』 (44), 2013.
노명환, 「역사연구와 기록관리 상호 관계의 패러다임 변화를 통해 본 역사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 - 랑케의 역사주의와 실증사학에 대한 본질주의(Essentialism)와 구성주의(Constructivism) 시각의 검토와 함께-」, 『역사문화연구』 41, 2012.
노명환, 「초국가주의 민주주의 평화사상과 지역공동체의 추구 및 분단극복 정책 : 빌리 브란트의 동방정책과 김대중의 햇볕정책의 비교사적 연구」, 『EU연구』 (30), 2012.
노명환, 「공론장으로서 기록보존소의 역할: 그 역사와 현황, 패러다임 변화와 미래 발전방향 -역사학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서양사론』 110, 2011.
노명환, “Redressing the Past as a Driving Force for European Integration and the Solution of the German Question: The Implications for Present-Day East Asia”, 역사문화연구 38, 2011.
노명환, 「냉전 시대 박정희의 한국 산업화 정책과 서독의 의미와 역할 1961-1967」, 『사림』 38, 2011.
노명환, “The Impacts of the “Berliner Mauerfall” and the Unification of Germany for the Tasks of Korean Unification - Focused on the Northern Policy of Roh Tae-woo and the Sunshine Policy of Kim Dae-jung -“, 역사문화연구,  35, 2010.
노명환, 「유럽통합 사상과 역사에 비추어 본 안중근 동양평화론의 세계사적 의의 - 안중근의 동양평화론은 초국가주의 지역공동체 창설 제안? -」, 『국제지역연구』 13(4), 2010.
노명환, 「영구평화를 위한 초국가주의 역사로의 전환기 아카이브즈와 아키비스트의 역할: 유럽연합 아카이브즈 설립과정과 유럽차원의 과거사 청산을 위한 독일 아키비스트들의 역할을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23, 2010.
노명환, 「냉전시기 분단국에서 기록관리의 국가·사회적 역할: 독일연방공화국과 대한민국의 아카이브 역사에 대한 비교를 중심으로」, 『역사문화연구』 32, 2009.
노명환, 「역사를 통해 본 스웨덴 기업문화의 특징」, 『국제지역연구』 12(4), 2009.
노명환, “Ein Deutscher Paul Georg von Möllendorff und Korea im Zeitraum 1882-1885”, 역사문화연구 (31), 2008.
노명환, “A thought on the mutual Relationships of History, Culture and Area Studies in the light of Epistemology”, 역사문화연구 (29), 2008.
노명환, 「동방정책을 추진하던 독일연방공화국 (서독)의 시각에서 본 한국의남·북관계 1969-72」, 『국제지역연구』 11(4), 2008.
노명환, “The Hope and the Frustration of the Korean South-North Relations 1973-74”, 역사문화연구 , 26, 2007.
노명환, “The Influences of the West German Ostpolitik on the Korean South-North Relations 1969-1972 -centered on the Red Cross Talks and the 7.4 Joint Communique”,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9(2), 2006. 
노명환, 「19세기 독일의 역사주의 실증사학과 기록관리 제도의 정립:랑케, 지벨 그리고 레만과 출처주의/ 원질서 원칙」, 『기록학연구』 14, 2006.
노명환, 「사민당/ 자민당 연립정부의 동방정책과 동·서독 관계에 대한 국민의식 개혁 교육 그리고 그 변화 (1969-82) - 국가 상황에 대한 보고와 역사, 지리 그리고」, 『국제지역연구』 10(2), 2006.
노명환, 「마셜플랜과 독일연방공화국의 사회·경제 체제의 정립 -사회시장경제 제도 형성을 중심으로-」, 『역사문화연구』 23, 2005.
노명환, 「미국의 독일점령과 교육정책(1945~1949)-미국의 체제적 목표와 미군정청의 “재교육정책”-」, 『역사문화연구』 22, 2005.
노명환, 「동-서 유럽의 분단과 마샬플랜(Marshall Plan)의 기원에 대한 논쟁의 검토-소련과 미국의 동유럽 지역과 독일문제에 대한 정책을 중심으로」, 『동유럽발칸연구』 14(1), 2005.
노명환, “The EU Inter-cultural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mes for Enhancing of European Awareness towards European Citizenship: Centered on ERASMUS, LINGUA, PETRA, COMENIUS”,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7(2), 2004. 
노명환, 「독일의 ‘국가문화(National Culture)’와 의사소통 방식」, 『국제지역연구』 8(2), 2004.
 
♦ 저서
노명환, 『세계의 최고 행정기관 기록물 이관 사례와 쟁점』 (선인, 2020).
노명환, 『세계대전과 유럽통합 구상 : 통합과 분열의 전간기, 유럽은 어떻게 새로운 평화질서를 모색했는가』 (통합유럽연구회, 2020).
노명환, 『20세기 서양의 일상과 풍경』 (선인, 2019).
노명환, 『분단의 역사인식과 사유를 넘어 : 동아시아의 한반도, 유럽의 독일』 (한울아카데미:한울엠플러스, 2019).
노명환, 『아카이브 콘텐츠 아카이빙 2019-개정판』 (한국외대 지식출판콘텐츠원, 2019).
노명환, 『유럽 바로 알기』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8).
노명환, 『아카이브 콘텐츠 아카이빙』 (Huine, 2017).
노명환, 『반공의 시대 : 한국과 독일, 냉전의 정치』 (돌베개, 2015).
노명환, 『독일로 간 광부·간호사 : 경제개발과 이주 사이에서』 (대한민국역사박물관, 2014).
노명환 외, 『Der Prozess der Zivilisationen 20 Jahre nach Huntington』 (Frank & Timme, 2014).
노명환, 『역사주의 : 역사와 철학의 대화』 (한국사학사학회편, 2014).
노명환 외, 『Teilungen Ueberwinden』 (De Gruyter Oldenbourg, 2014).
노명환, 『도시로 보는 유럽통합사 : 영원의 도시 로마에서 EU의 수도 브뤼셀까지』 (책과함께, 2013).
노명환 외, 『L'est et L'ouest face a la Chute du Mur』 (CIRAC, 2013).
노명환, 『현대 기록학 산책』 (한국외국어대학교 기록학연구센터 : 다해, 2012).
노명환 외, 『서양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 생활문화로 보는 서양사』 (푸른역사, 2012).
노명환 외, 『역사를 통해 본 유럽의 서로 다른 문화 읽기』 (신서원, 2011).
노명환 외, 『타자 인식과 상호 소통의 역사』 (신서원, 2011).
노명환 외, 『안중근과 동양평화론』 (채륜, 2010).
노명환 외, 『인물로 보는 유럽통합사』 (책과함께, 2010).
노명환 , 『유럽통합사 : 유럽의 '초국가' 형성 과정』 (높이깊이, 2009).
노명환 , 『다민족 국가의 통합정책과 평화정착의 문제』 (동북아역사재단, 2008).
노명환 외, 『Ostpolitik, 1969-74. European and Global Respons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노명환 외, 『유럽 바로 알기』 (한국방송대학교 출판부, 2006).
 
· 공동연구원 Hriday Narayan 교수
· Tel : .
· E-mail : hridayn@hufs.ac.kr
· 소속 : 한국외국어대학교 사학과
· 학력 : 인도 고라크푸르대학교(Gorakhpur University) 문학박사
· 전공 : 한국현대사
학술활동 및 주요연구실적
♦ 논문 
히리대나라얀, “Christian Missions and Cultural Assimilation in India through Interpretation and Textualization of Hindu Scriptures during the British Colonial Period”, 역사문화연구 72, 2019. 
히리대나라얀, “Colonial Encounter with Traditional Social Elite Class in Bengal : Emergence of New Social Classes on the Ruins of the Mughal Empire”, 중앙사론 47, 2018. 
히리대나라얀, “Legacies left behind by British Colonial Rule on Education (English Language) and Social System (Caste System) of India”, 역사문화연구 53, 2015.
히리대나라얀, “Aspects of Indian Modern Historiography and a New Approach towards History of India”, 남아시아연구 20(1), 2014.
히리대나라얀, “Patterns of Changes in Civil-Military Relations in South Korea”, 역사문화연구 44, 2012. 
히리대나라얀, “Korea Versus India Colonial Language Policy and the Cultural Politics”, 역사문화연구 41, 2012. 
Hriday Narayan, “Stephen P. Cohen. India”, Sungkyun Journal of East Asian Studies 6(1), 2006. 
Hriday Narayan, “Young Whan Kihl, Transforming Korean Politics”, Sungkyun Journal of East Asian Studies 5(1), 2005. 
Hriday Narayan, “Bruce Cumings. North Korea”, Sungkyun Journal of East Asian Studies 4(2), 2004. 
히리대나라얀, “Aspects of Colonialism in Asia:A Comparative Study of the Japanese in Korea(1910-1945) and the British in India(1757-1947)”, 한국철학논집 15, 2004.
· 공동연구원 구자정 교수
· Tel : .
· E-mail : jjjkoo@gmail.com
· 소속 : 대전대학교 역사문화학과
· 학력 : 미국 버클리대학(UC Berkeley) 역사학박사
· 전공 : 서양현대사(러시아, 동유럽 역사/유럽 민족문제)
학술활동 및 주요연구실적
♦ 논문 
구자정, 「“슈뢰딩거의 클레오파트라?” 디지털과 아날로그 사이 경계에 선 한국서양사학 - 2019~2020년 역사이론과 사상사 분야 회고와 전망 -」, 『역사학보』 251, 2021.
구자정, 「“변경”에서 “우크라이나”로-『루시인의 역사』를 통해 본 우크라이나 민족서사의 첫 탄생-」, 『슬라브학보』 35(3), 2020.
구자정, 「“악마와의 계약? 독일 무장친위대 제14 척탄병 사단 ‘할리치나’, 1943-1945」, 『역사학보』 245, 2020.
구자정, 「16세기 말 17세기 초 자포로지예 카자크 집단을 통해 본 우크라이나 역사의 카자크적 기원과 루스(Rus’) 정체성」, 『슬라브연구』 33(4), 2017.
구자정, 「악마와의 계약? 우크라이나의 파시즘 운동, 1929~1945」, 『슬라브연구』 31(4), 2015.
구자정, 「러시아 혁명기 쿠반 카자크 분리주의(Samostiinost’)의 기원을 찾아서- 19세기 말 20세기 초 남부 러시아 쿠반 지역의 이노고로드니예 문제 -」, 『슬라브학보』 29(2), 2014.
구자정, ““Foucault Effects” in Russian/Soviet History”, 역사문화연구, 50, 2014.
구자정, 「“맑스(Marx)”에서 “스탈린(Stalin)”으로 - 맑시즘 민족론을 통해 본 소비에트 민족정책의 역사적 계보 -」, 『사총』 80, 2013.
구자정, 「데모크라시는 진정 “민주적”인가? -“공화국”과의 역사적 길항관계를 통해 본 데모크라시 개념의 재고-」, 『서양사론』 116, 2013.
구자정, 「이식된 근대, 만들어진 민족, 강제된 독립 - 소비에트식 “민족창조”를 통해 본 중앙아시아 지역 유럽 근대성의 착종 -」, 『역사문화연구』 44, 2012.
구자정, 「소비에트 연방은 왜 해체되었는가? - 소련의 “이중 체제”와 “민족 창조 정책”을 통해서 본 소련 해체 문제의 재고 -」, 『역사학보』 210, 2011.
구자정, 「개발 독재 시기 한국 현대사 서술을 통해 본 현대 러시아의 한국 인식과 자기 인식 - 러시아의 한국 현대사 인식 속에 투영된 현대 러시아의 자화상 -」, 『국제지역연구』 14(3), 2010.
구자정, 「“경계인”으로서의 까자끼: 까자끼의 역사적 기원과 형성에 대한 소고」, 『러시아연구』 20(1), 2010.
구자정, 「“나로드니끄(Narodnik)”에서 “싸모스찌이니끄(Samostiinik)”로 - 쉬체르비나의 까자끄 이데올로기와 까자끄 정체성의 보편주의적 전환 -」, 『서양사론』 104, 2010.
구자정, 「“우크라이나 -루시의 역사(Istoriia Ukraïny-Rusy)” 미하일 흐루쉐프스끼(Mykhailo Hrushevsky)」, 『중소연구』 33(4), 2010.
 
♦ 저서
구자정 외 9인, 『유라시아의 생활양식과 정체성』 (민속원, 2011).
구자정 외 10인, 『유라시아의 생활양식과 정체성』 (민속원, 2010).
 
· 공동연구원 이병훈 교수
· Tel : .
· E-mail : ruscritic@ajou.ac.kr
· 소속 : 아주대학교 다산학부대학
· 학력 : 러시아 모스크바 국립대학교(Moscow State University) 문학박사
· 전공 : 러시아문학(19세기 러시아 비평사)
학술활동 및 주요연구실적
♦ 학술활동
2017.03 - : 아주대학교 다산학부대학 부교수
2017.03 - : 아주대학교 다산학부대학 의사소통센터장
2019.03 -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 편집위원
2013.03 – 2021.06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사학연구소 공동연구원
2014.03 – 2019.10 : 문학과의학회 <문학과 의학> 편집위원장

연구분야
러시아 문학, 문학과 의학, 접경예술
 
♦ 논문
이병훈, 「대화적 장르론과 구성적 문체론의 관점에서 본 바흐찐의 소설이론」, 『러시아연구』 31(1), 서울대 러시아연구소, 2021.
이병훈, 「러시아 멜랑콜리의 탄생 : 뿌쉬낀 저작을 중심으로」, 『러시아연구』 30(1), 서울대 러시아연구소, 2020.
이병훈, 「감금과 통제 : 19세기 러시아 정신병원의 실체」, 『러시아연구』 29(1), 서울대 러시아연구소, 2019.
이병훈, 「접경의 문학 : 문학과 문화의 관점에서 본 접경의 의미」, 『중앙사론』 (47), 중앙대 중앙사학연구소, 2018.
이병훈, 이양숙, 「사회주의 리얼리즘과 1930년대 세계관과 창작방법 논쟁」, 『러시아연구』 28(1), 서울대 러시아연구소, 2018.
이병훈, 「러시아 혁명과 문학비평의 두 방향 : 1920년대 소비에트 비평의 근본문제들」, 『러시아연구』 27(1), 서울대 러시아연구소, 2017.
이병훈, 「이광수의 <사랑>과 일제 강점기 근대병원의 역사적 기록」, 『의사학』 25(3), 대한의사학회, 2016.
이병훈, 「광기, 전복된 영혼의 세계 : 러시아 광기의 역사」, 『연세의사학』 19(2), 의학사연구소, 2016
이병훈, 「신경림 시에 나타난 술의 의미」, 『시학과 언어학』 (31), 시학과언어학회, 2015.
이병훈, 「의학적 내러티브의 심리적 구조」, 『의철학연구』 19, 한국의철학회, 2015.
이병훈, 「민중성의 진화- 신경림의 장시 「남한강」과 80년대 시집을 중심으로 -」, 『한국현대문학연구』 (44), 한국현대문학회, 2014.
이병훈, 「<濁流>-‘약’의 향연-」, 『현대소설연구』 (53), 한국현대소설학회, 2013.
이병훈, 「광기의 언어 : 가르쉰의 「붉은 꽃」을 중심으로」, 『노어노문학』 22(2), 한국노어노문학회, 2010.
이병훈, 「시적 소통의 특수성에 대하여 예술언어의 유연성과 대화적 성격을 중심으로」, 『노어노문학』 21(4), 한국노어노문학회, 2009.
이병훈, 「소통, 번역, 파토스」,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24), 한국러시아문학회, 2007.

♦ 저서
이병훈(공저), 『사고와 언어(개정판)』 (연암서가, 2021)
이병훈(공저), 『의료문학의 현황과 과제』 (모시는 사람들, 2020)
이병훈(공저), 『세계문학은 한국문학의 거울인가』 (섬앤섬, 2018)
이병훈(공저), 『더 넓은 세계문학』 (홍시, 2017)
이병훈(공저), 『다시 돌아보는 러시아혁명 100년』 (문학과지성사, 2017)
이병훈(공저), 『감염병과 인문학』 (강, 2014)
이병훈(공저), 『우리가 알아야할 최소한의 세계문학』 (매경출판, 2014)
이병훈, 『아름다움이 세상을 구원할 것이다』 (문학동네, 2012)
이병훈(공저), 『젊은 의사의 수기/ 모르핀』 (을유출판사, 2011)
이병훈(공저), 『동서양문학고전산책』 (방통대 출판사, 2010)

 
 
· 공동연구원 최말순 교수
· Tel : .
· E-mail : mschoi@nccu.edu.tw
· 소속 : 대만 국립정치대학 대만문학연구소
· 학력 : 대만 국립정치대학(國立政治大學) 문학박사
· 전공 : 문학사(台灣文學, 日據時期小說, 韓國現代文學 )
학술활동 및 주요연구실적
♦ 논문
최말순, 「‘지방향토’에서 ‘일본정신’으로-전쟁기(1937-1945) 대만의 문화동원논리」,『中國語文論叢』(105), 中國語文硏究會, 2021.
최말순, 「何謂戰鬥文藝?-以《軍中文藝》(1954-1956)小說的敘事特徵與語言修辭為例」,『대만연구』 (18), 한국외국어대학 대만연구센터, 2021.
최말순, 「‘본토’와‘해양’:대만‘네이션’의 안과밖」, 대만연구 (17), 외국어대학대만문학센터, 2020.
최말순, 「「五四」與臺灣新文學以及「朝鮮」 - 從《臺灣民報》兩篇小說談起」, 『한중언어문화연구』 (57), 한중중언어문화연구회, 2020.
최말순, 「錦繡中華-反共脈絡下的中國山河再現」,『臺灣文學學報』(THCI)第三十五期, 國立政治大學台文所, 2019.
최말순, 「種族誌와 전쟁동원- 일제말 전쟁기 접경지 대만의 南方담론」, 『중앙사론』 (47), 중앙사학연구소, 2018.
崔末順, 「1930년대 대만문단의 향토문학/대만화문 논쟁의 쟁점과 성과」, 『중국학논총』 (58), 중국학연구소, 2017.
최말순, 「亞洲基金會와 냉전시기 대만문학의 경향」, 『한국학연구』 (47), 한국학연구소, 2017.
최말순, 「마음의 전쟁― 식민지 대만의 전쟁기억과 ‘조국’ 상상」, 『중국어문논총』 (80), 중국어문연구회, 2017.
최말순, 「1950, 1960년대 타이완문학의 경향과 미국원조문화와의 상관성」, 『동북아역사논총』 (48), 동북아역사재단, 2015.
최말순, 「민족에서 개인으로 - 1950년대 냉전대만의 문학풍경」, 『중앙사론』 (38), 중앙사학연구소, 2013.
최말순 ;박용재, 「대만문학과 한국문학 사이에서 - 최말순 교수와의 인터뷰」, 『상허학보』 38, 상허학회, 2013.
최말순, 「1930년대 대만문학 맥락 속의 장혁주」, 『사이間SAI』 (11),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1.
崔末順, 「文學現代性的建立:二○年代台灣文學論的啟蒙內容及其結構」, 『한중언어문화연구』 (22), 한중중언어문화연구회, 2010.
崔末順, 「殖民下的精神荒蕪:日據時期台灣小說中的殖民性接受過程」, 『한중언어문화연구』 (17), 한중중언어문화연구회, 2008.
최말순, 「日據時期台灣小說所反映的現代性接受樣態」, 『중국학논총』 (20), 중국학연구소, 2006.
 

♦ 저서
최말순, 殖民與冷戰的東亞視野-對臺韓文學的一個觀察 (遠景出版社, 2021)
최말순, 誰能說自己看見天空―韓國小說大家經典代表作∙戰後篇 (麥田出版社, 2021)
崔末順 著, 殖民與冷戰的東亞視野-對臺韓文學的一個觀察 (台北:遠景出版社, 2021.08)
최말순, 翻譯東亞:美學與意識形態 (政大出版社, 2020)
崔末順 編, 吹過星星的風-韓國小說大家經典代表作.戰前篇 (台北:麥田出版社.2020)
최말순 저, 『식민과 냉전하의 대만문학』 (서울:글누림출판사, 2019)
최말순(공저), 『접경공간의 형성-조우와 충돌』 (소명출판, 2019)
최말순(공저), 『한국근현대문학과 중국 그리고 동아시아』 (역락, 2018)
최말순 역, 『이리』 (지만지, 2014)
최말순(공저), 『타이완의 근대문학-운동, 제도, 식민성(1-3)』 (소명출판사, 2013)
최말순(공저), 『대만을 보는 눈:한국-대만, 공생의 길을 찾아서』 (창작과 비평사, 2012)
· 공동연구원 한지연 교수
· Tel : 02-820-5564
· E-mail : hanzhiyan@cau.ac.kr
· 소속 : 중앙대학교 아시아문화학부
· 학력 : 중국 베이징대학교 문학박사
· 전공 : 문학(중국현대문학)
학술활동 및 주요연구실적
 
학술활동
2022.01 - 중국인문학회 편집위원
2021.04 - 한국중국문화학회 편집위원
2020.09 - 한국중국언어문화연구회 편집위원장
2019.06 - 부산대학교 중국연구소 편집위원
2019.02 - 세계화문여행문학연합회(International Association of Travel Literature in Chinese) 이사
 
연구분야
중국현당대문학, 중국현대학술사상 및 학술문화
 
논문
한지연, 독립운동가 윤봉길 형상 서사의 수용사적 고찰 - 潘孑農의 소설 尹奉吉을 중심으로, 한국보훈논총21(1), 한국보훈학회, 2022.
한지연, 錢基博白話文學觀批評意識 - 語體文範을 중심으로, 중어중문학83, 한국중어중문학회, 2021.
한지연, 윤봉길의 문학적 형상화와 그 의의 - 소설 천국의 새(回歸天堂)를 중심으로, 한국보훈논총19(1), 한국보훈학회, 2020.
한지연, 五四無鬼神論者的思想探尋——以陳獨秀胡適爲例, 중국학보90, 한국중국학회, 2019.
한지연, 胡適 '述學學術史的 의미 - 中國哲學史大綱에 반영된 述學 의식을 중심으로, 중국연구79,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19.
한지연, 文心通變’ - 錢鍾書 초기 중국고전문학 비평 연구, 중국현대문학88,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2019.
한지연, 進化復古之間——以錢鍾書論復古爲例, 중국어문논역총간44, 중국어문논역학회, 2019.
한지연, 專家之學的史學研究――淺論陳寅恪視域下的中國中古史, 중국학논총60, 한국중국문화학회, 2018.
한지연, 錢鍾書西學 간의 상관성 小考 西學 인식과 英國文藝批評과의 상호성을 중심으로, 중국현대문학85,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2018.
한지연, 보편적 詩心文心의 추구 - 錢鍾書 談藝錄理趣論文學批評을 중심으로, 중국학62, 대한중국학회, 2018.
한지연, 학문으로서의 문학사 서술錢基博 現代中國文學史新文學論을 중심으로, 중국현대문학82,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2017.
한지연, 周作人, 錢鍾書文學史的 논쟁과 그 의의, 한중언어문화연구44, 한국중국언어문화연구회, 2017.
한지연, 胡適의 편찬의식 연구 - 中國新文學大系建設理論集을 중심으로, 중국학연구79, 중국학연구회, 2017.
한지연, 통섭의 시학 - 錢鍾書 詩可以怨의 비교문학적 접근, 한중언어문화연구42, 한국중국언어문화연구회, 2016.
한지연, 의 전통, 그리고 技擊서사 - 林紓 文言筆記小說 技擊餘聞小考, 중어중문학65, 한국중어중문학회, 2016.
한지연, 走向救國之路──以胡適的學術教育觀爲切入, 중국학보76, 한국중국학회, 2016.
한지연, 文學爲職志文學爭辯——以胡適中國新文學大系建設理論集導言爲切入點, 중국학보74, 한국중국학회, 2015.
한지연, 記憶與尋找:《石語陳石遺先生談藝錄之互文解讀, 漢語言文學硏究(1), 河南大學文學院, 2015.
한지연, 史家眼光與文學感覺錢基博文學史敍述的文體意識, 中國現代文學硏究叢刊(1), 中國現代文學館, 2015.
한지연, 技擊治學 - 試論錢基博筆記體小說技擊余聞補≫」, 중국학보70, 한국중국학회, 2014.
한지연, 錢鍾書 談藝錄에 나타난 비평의식 - 第一則 詩分唐宋을 중심으로, 중국학연구70, 중국학연구회, 2014.
한지연, 記憶創傷與殖民經驗的再現――淺論吳濁流亞細亞的孤兒的被殖民書寫, 한중언어문화연구35, 한국중국언어문화연구회, 2014.
한지연, 錢鍾書의 비평적 글쓰기와 管錐編연구를 위한 小考, 중국현대문학67,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2013.
한지연, 散文藝術的自由空間和可能性:《寫在人生邊上的解讀策略, 勵耘學刊(1), 北京師範大學, 2013.
한지연, 錢鍾書 산문의 포스트 모던적 독해의 가능성, 중국어문논역총간31, 중국어문논역학회, 2012.
한지연, 錢鍾書圍城的互文性解讀, 한중언어문화연구27, 한국중국언어문화연구회, 2011.
한지연, 在歷史與文學之間——試論郭沫若歷史題材作品, 한중언어문화연구21, 한국중국언어문화연구회, 2010.
 
저서
한지연(공저), 21세기 중국! 소통과 뉴 트렌드(산지니, 2015)
 
역서
한지연, 임서가 들려주는 강호 이야기(산지니, 2021)
한지연(공역), 문학@타이완(역락, 2014)
 
· 공동연구원 이준갑 교수
· Tel : 032-860-8072
· E-mail : leejungab@inha.ac.kr
· 소속 : 인하대학교 사학과
· 학력 :
· 전공 : 동양사(중국근대사)
학술활동 및 주요연구실적
♦ 논문
이준갑, 「청 전, 중기 사천사회의 연구 -천서, 천동지역의 사회변화와 청조권력-」, 서울대하교 박사학위논문, 1998
이준갑, 「토지, 주택, 점포 ― 청대 북경 천주교 北堂의 경제적 기반 ―」, 명청사연구, 54호, pp. 309~351, 2020
이준갑, 「乾隆年間 天主敎 탄압의 실제와 天主敎 共同體」, 명청사연구, 52호, pp. 329~373, 2019
이준갑, 「白蓮敎軍이 언급한 嘉慶 白蓮敎反亂 ― 白蓮敎軍 진술서 분석을 중심으로 ―」, 동양사학연구, 146호, pp. 231~276, 2019
이준갑, 「天主敎令과 中國傳統 ― 嘉慶 8년(1803) 제정『쓰촨 대목구 시노드』 敎令의 분석 ―」, 동양사학연구, 142호, pp. 121~170, 2018
이준갑, 「白銀, 商人, 宣敎師 ― 淸代 天主敎 傳播에 나타난 聖과 俗 ―」, 명청사연구, 47호, pp. 69~108, 2017
이준갑, 「李器之(1690~1722)의 『一菴燕記』에묘사된 ‘작은 西洋’」, 한국학연구, 43호, pp. 491~524, 2016
이준갑, 「嘉慶年間(1796~1820)의 天主敎 傳播와 淸朝의 對應」, 명청사연구, 45호, pp. 183~244, 2016
이준갑, 「淸代의 人口移動과 天主敎徒 -四川 天主敎徒의 移住民 性格을 중심으로-」, 명청사연구, 43권, pp. 175~209, 2015
이준갑, 「明淸交替期의 淸과 琉球 ― 淸朝의 第一次 琉球 使行 派遣과 正使 張學禮의 使行活動을 中心으로 ―」, 명청사연구, 39호, pp. 77~120, 2013
이준갑, 「乾隆49年(1784)~51年(1786)의 敎案과 乾隆帝」, 동양사학연구, 121호, pp. 229~313, 2012
이준갑, 「乾隆49년(1784)~50년(1785)의 敎案과 天主敎共同體」, 동양사학연구, 117호, pp. 163~217, 2011
이준갑, 「民間傳說을 통해본 明末淸初의 四川社會와 張獻忠-傳說의 歷史學的 接近-」, 중국사연구, 69권, pp. 309~357, 2010
이준갑, 「乾隆年間 淸朝의 대외 전쟁과 제국체제- 제1차준가르 공격(1755)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학연구, 20권, pp. 279~313, 2009
이준갑, 「근대 중국의 국조인식과 민족문제」, 동북아역사논총, 20권, pp. 85~112, 2008
이준갑, 「명청시대 지역사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에 대한 모색」, 중국사연구, 53권, pp. 163~202, 2008
이준갑, 「移住, 定着, 同化 ― 17C~20C 四川 客家의 軌跡 ―, 동양사학연구, 101호, pp. 145~184, 2007
이준갑, 「명청시대사 연구의 동향과 성과」, 역사학보, 191호, pp. 293~313, 2006
이준갑, 「川鹽濟楚와 淸末 江蘇省의 地域經濟 ― 銀流通 문제를 中心으로 ―」, 명청사연구, 25호, pp. 213~240, 2006
이준갑, 「淸代 川湖陝 交界 山間地域의 經濟開發과 그 성격」, 중국사연구, 41호, pp. 205~242, 2006
이준갑, 「淸代 川, 陝, 湖 交界지역의 경제개발과 민간 풍속 (2)」, 동양사학연구, 87권, pp. 111~141, 2004
이준갑, 「太平天國時期四川食鹽在湖南湖北市場的進出與銀流通」, 명청사연구, 20권, pp. 173~195, 2004
이준갑, 「중국문화사의 서술경향과 주요저작의 목차분석」, 한국사론, 35권, pp. 141~182, 2002
이준갑, 「淸代中後期四川的社會秩序與各階層的動向-以紳士,胥吏,無賴之間的相互關系爲中心-」, 중국사회역사평론, 4권, pp. 85~94, 2002
이준갑, 「順治年間淸朝的湖廣剿撫和軍餉供給」, 중국사회경제사연구(中國社會經濟史硏究), 2002년 제2기, pp. 26~33, 2002
이준갑, 「淸代中期四川白銀流通的擴大及其影響」, 明淸論叢 / 명청논총, 3권, pp. 365~378, 2002
이준갑, 「明末淸初四川的動亂及影響-關于屠蜀的再檢討-」, 第八屆國際明史學術討論會論文集, 8권, pp. 73~81, 2001
이준갑, 「청대 사천의 인구이동과 객민」 , 중국학보, 43권, pp. 349~377, 2001
이준갑, 「19세기 후반 사천 염상 호신이당의 염업경영과 '보산'」, 중국사연구, 13권, pp. 187~214, 2001
이준갑, 「청 중, 후기 사천 삼비국의 설립과 운영 -'관행'의 질서에서 '장정'의 질서로-, 동양사학연구, 74권, pp. 135~170, 2001
이준갑, 「청말-민국연간 사천 미곡시장의 구조와 성격」, 명청사연구, 13권, pp. 73~104, 2000
이준갑, 「청중기 사천 괵로의 활동과 지방치안 -토객공존과 관련하여-」, 동양사학연구, 68권, pp. 1~34, 1999
이준갑, 「청중기 사천의 은유통확대와 백련교반란」, 중국사연구, 6권, pp. 151~186, 1999
이준갑, 「명청시대 사천사회의 연속성에 관한 일고찰 -'도촉'에서 청중기까지 토착인의 활동과 존재형태를 중심으로 -」, 동양사학연구, 62권, pp. 39~72, 1998


♦ 저서
이준갑, 『구미학계의 중국사 인식과 한국사 서술 연구』, 동북아 역사재단, 2021
이준갑, 『건륭제와 천주교』, 혜안, 2021 이준갑, 『동아시아사 입문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총서 114)』, 동북아역사재단, 2020
이준갑, 『동아시아의 문자와 책』, 글로벌콘텐츠, 2017 이준갑, 『아틀라스 중국사』, 사계절, 2015
이준갑, 『동아시아 영토분쟁의 어제와 오늘』, 글로벌콘테츠, 2014
이준갑, 『우리안의 타자』, 동아시아, 글로벌콘텐츠, 2011
이준갑, 『중국의 청사편찬과 청사연구』, 동북아역사재단, 2010
이준갑, 『아틀라스 중국사』, 사계절, 2007
이준갑, 『명청시대 사회경제사』, 이산출판사, 2007
이준갑, 『인하50년사』, , 2004
이준갑, 『중국 사천 사회 연구 1644~1911 -개발과 지역질서-』,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2
이준갑(공저), 『 근세 동아시아의 국가와 사회』, 지식산업사, 1998

Tel : 02-822-6140
Tel : 031-330-4159
학술활동
발간자료
일정표
지역인문학센터
대중참여
프로그램